북한의 악의적인 암호화폐 도난 행위가 다시 국제사회 도마 위에 올랐다.
미국, 일본, 호주, 인도로 구성된 안보 협의체 '쿼드'(Quad)의 외교장관들이 1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린 회의에서 북한의 암호화폐 탈취와 사이버 범죄 행위에 대해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비롯한 4개국 외교장관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이 다양한 사이버 수단을 동원해 암호화폐를 훔치고, 이 자금을 핵과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자금으로 사용하고 있다"며 "이러한 활동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UNSCR)에 정면으로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쿼드는 특히 북한이 해외 근로자 파견과 함께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을 통해 대량살상무기(WMD) 및 미사일 개발 자금을 조달하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번 공동성명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열렸던 1월 쿼드 회의 이후 처음으로 북한 관련 직접 언급이 포함됐다는 점에서도 주목받았다. 당시에는 북한이나 중국 등 이른바 적대국에 대한 언급 없이 조용히 넘어갔지만, 6개월 만에 다시 목소리를 높인 것이다.
쿼드는 북한의 암호화폐 도난 활동이 실제로 국제 제재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전 세계 모든 유엔 회원국이 안보리 제재를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북한은 이미 수년 전부터 여러 해킹 그룹을 동원해 전 세계 암호화폐 거래소와 지갑을 겨냥해왔으며, 수억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를 불법 탈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보안 기관들은 북한 해커들이 탈취한 암호화폐를 세탁하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현금화해 평양의 무기 개발 자금으로 흘러들어간다고 보고 있다.
이번 쿼드의 경고가 북한의 사이버 공격을 억제할 실질적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