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 네트워크(Pi Network)의 가격이 최근 0.49달러(약 681원)까지 하락해 투자자들의 불안이 커진 가운데, 시장 전문가들은 해당 코인이 0.40달러(약 556원)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프로젝트의 핵심 개발팀인 ‘Pi 코어팀’이 전체 공급량의 90%를 장악하고 있다는 점이 가격 안정성의 핵심 요인으로 주목된다.
블록체인 분석가 닥터 알트코인(Dr Altcoin)은 “Pi 가격이 0.40달러 아래로 떨어지면 시가총액 기준 상위 30위에서 밀려 브랜드 가치와 사용자 신뢰도가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며, “Pi 코어팀은 그 같은 상황을 피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를 취할 역량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팀은 과거에도 토큰 언락 속도를 조율하거나 생태계 업데이트 발표를 통해 시장 심리를 안정시킨 바 있다.
이런 배경을 반영하듯, Pi의 가격은 당분간 0.40~0.70달러(약 556만~973만 원) 범위에서 등락을 반복할 것으로 전망된다. 8월까지는 신규 토큰 공급량이 점차 줄어들면서 점진적인 상승세가 예고되지만, 대형 거래소 상장이나 메인넷 진척 등 특별한 이벤트가 없을 경우 단기 급등 가능성은 제한적이다.
Pi 가격의 추가 하락은 단순한 가격 문제가 아니다. 파트너사와 개발자, 초기 투자자들이 이탈할 위기이며, 프로젝트 전체 평판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Pi의 지속 가능성은 결국 가격 방어에 달려 있다는 점에서, 코어팀의 공급 통제는 단순한 전략을 넘어 존립 기반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2025년 7월에 예정된 2억 7,600만 Pi 토큰 이상의 대규모 언락, KYC 지연 이슈, 기술 미이행 및 메인넷 이행 지체 등이 잠재적인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현재의 중앙화된 구조는 대형 중앙화 거래소(CEX) 상장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어, Pi의 ‘탈중앙화’ 목표와도 충돌할 수 있다.
Pi 네트워크의 향후 전망은 결국 시장 신뢰 확보와 코어팀의 전략적 판단에 달렸다.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는 단순한 가격 방어 그 이상으로, 명확한 로드맵 이행과 커뮤니티와의 신뢰 구축이 관건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