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 한컷] 오늘의 프로젝트 '해시플로우'...ROI 7.13배

| 강수빈 기자

글로벌 암호화폐 시가총액이 3조4500억달러를 기록한 가운데, 해시플로우가 '오늘의 프로젝트', 델파이 디지털이 '오늘의 펀드', 바이비트가 '오늘의 플랫폼'으로 선정됐다.

2일 기준 체인브로커에 따르면 글로벌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3조4500억 달러를 기록했다. 24시간 거래량은 1180억 달러 수준이다. 비트코인은 10만8840달러, 이더리움은 256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탈중앙화금융(DeFi) 분야의 총 예치 자산(TVL)은 1150억 달러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271억 달러가 예치돼 전체의 약 23.6%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트론(54억5000만 달러) ▲BNB 체인(46억7000만 달러) ▲아비트럼(24억2000만 달러) ▲옵티미즘(8억8900만 달러) 순으로 집계됐다.

거래소별 거래량에서는 바이낸스(Binance) 가 하루 174억 달러로 1위를 기록했다. 뒤이어 ▲비트겟(Bitget, 45억8000만 달러) ▲MEXC 글로벌(39억5000만 달러) ▲게이트아이오(Gate.io, 34억6000만 달러) ▲바이비트(Bybit, 32억7000만 달러) ▲HTX(29억8000만 달러) ▲OKX(27억9000만 달러) ▲코인베이스(Coinbase, 24억6000만 달러)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오늘의 프로젝트 '해시플로우(Hashflow)'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암호화폐 프로젝트 수는 총 3510개이며, 이 가운데 상승 중인 프로젝트는 1004개, 하락 중인 프로젝트는 341개로 나타났다.

최근 사용자 관심도(조회 수) 상위 프로젝트는 ▲사하라 AI(Sahara AI) ▲아비트럼(Arbitrum) ▲스타크넷(StarkNet) ▲세이 네트워크(Sei Network) ▲온도파이낸스(Ondo Finance) ▲해시플로우(Hashflow) 순으로 집계됐다.

24시간 기준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프로젝트는 ▲우미(Umee, +280.0%) ▲언 네트워크(Earn Network, +118.0%) ▲알리언(Alian, +57.0%) ▲MXC 파운데이션(MXC Foundation, +51.3%) ▲레전드(Legend, +43.6%) ▲스태프 파이낸스(Staffin Finance, +29.0%) ▲퍼센트(Percent, +28.8%) ▲프리즘(Prism, +26.6%) ▲메타버스 유니티(Metaverse Unity, +23.7%) ▲옵션룸(OptionRoom, +21.7%) ▲리얼렘(Real Realm, +21.4%) 등이었다.

이날 '오늘의 프로젝트'로 선정된 종목은 해시플로우(Hashflow)로, 투자 수익률(ROI)은 7.13배를 기록했다.

체인브로커에서 산정한 종합 평가 점수는 5.96점으로 전체 209위에 해당한다. 해시플로우는 상호운용성과 미끄러짐 없는 거래, MEV 보호 거래를 지원하는 탈중앙화 거래소(DEX)다. '프로젝트 기본 요소(8.20점)', '소셜·개발 활동(9.36점)'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오늘의 카테고리 '자동화 마켓 메이커(AMM)'

전체 32개 암호화폐 카테고리 중 상승 부문은 30개, 하락 부문은 2개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AMM 부문이 ROI 0.58배를 기록하며 ‘오늘의 카테고리’로 선정됐다.

이달 수익률 기준 상위 카테고리는 ▲블록체인 서비스(3.51배) ▲소셜(2.51배) ▲데이터 서비스(2.33배) 순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 기준 상위 카테고리는 ▲스마트컨트랙트 플랫폼(5110억 달러) ▲중앙화 거래소(1710억 달러) ▲탈중앙화 거래소(256억 달러)이다.

오늘의 펀드 '델파이 디지털(Delphi Digital)'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417개 크립토 펀드 중 366개가 24시간 수익률 상승세를 보였으며 48개는 하락세를 기록했다.

이날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는 ▲컨센시스(ConsenSys, +28.6%) ▲IDEO 코랩 벤처스(IDEO CoLab Ventures, +19.9%) ▲네센트(Nascent, +16.3%) ▲서클 벤처스(Circle Ventures, +15.1%) ▲폴리체인 캐피털(Polychain Capital, +14.4%) ▲블랙타워 캐피털(BlackTower Capital, +12.8%) ▲뉴웨이브 캐피털(Newwave Capital, +12.6%) ▲메이븐11 캐피털(Maven 11 Capital, +12.1%) 순이다.

가장 높은 관심도가 나타난 펀드는 ▲a16z(5.35배) ▲바이낸스 랩스(Binance Labs, 3.03배) ▲코인베이스 벤처스(Coinbase Ventures, 2.44배) ▲판테라 캐피털(Pantera Capital, 1.64배)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오늘의 펀드(Fund of the Day)'로는 미국 뉴욕 기반 벤처 캐피털 '델파이 디지털(Delphi Digital)'이 선정됐다. 현재 ROI(투자 수익률)는 2.22배로 집계됐다.

펀드 포트폴리오 내 ROI 기준 상위 프로젝트는 ▲토르체인(THORChain, 66.0배) ▲인젝티브(Injective, 58.5배) ▲지토(Jito, 34.8배) ▲에테나(Ethena, 13.3배) ▲세이(SEI, 7.18배) ▲이뮤터블엑스(Immutable X, 4.38배) 등이다.

최근 24시간 기준 상승률 상위 종목은 ▲리발즈 네트워크(Rivalz Network, +2.72%) ▲팬턴 판타지 풋볼(Fanton Fantasy Football, +2.53%) ▲올아트(ALLART, +2.24%) ▲아주로 프로토콜(Azuro Protocol, +0.58%) 등이다.

가장 최근 투자 사례는 ▲인퍼런스 랩스(Inference Labs, 300만 달러) ▲하이퍼드라이브(Hyperdrive, 600만 달러) ▲누스 리서치(Nous Research, 2000만 달러) ▲매직블록(MagicBlock, 750만 달러) ▲오로 AI(Oro AI, 600만 달러) 등이다.

오늘의 플랫폼 '바이비트(Bybit)'

유망한 신규 프로젝트와 투자자를 연결하는 '론치패드(Launchpad)' 플랫폼은 총 115개로 집계됐다. 이 중 24시간 기준으로 수익률이 상승한 플랫폼은 90개, 하락한 플랫폼은 14개로 나타났다.

전체 론치패드의 평균 최고 수익률(ATH ROI)은 22.0배, 평균 ROI는 0.5배로, 여전히 변동성이 큰 시장 흐름을 보이고 있다. 평균 스테이킹 금액은 16.75달러로, 비교적 진입 부담은 낮은 수준이다.

현재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핫 크립토 론치패드는 ▲바이비트(1.01배) ▲폴카스타터(0.493배) ▲바이낸스 런치패드(6.76배)이다.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바이낸스 월렛(964억 달러) ▲바이낸스 런치패드(964억 달러) ▲OKX 점프스타트(30억 달러)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달 ROI 기준 상위 론치패드는 ▲코인리스트(11.6배) ▲바이낸스 런치패드(6.79배) ▲바이낸스 월렛(5.53배) ▲OKX 월렛(4.98배) ▲OKX 점프스타트(3.55배) ▲페이드 이그니션(2.15배) ▲엔진스타터(1.58배) ▲옥스불(1.57배) ▲쿠코인 스포트라이트(1.35배) ▲바이비트(1.02배) 순으로 확인됐다.

한편, '오늘의 플랫폼(Platform of the Day)'으로는 바이비트(Bybit)가 선정됐다. 바이비트 플랫폼을 통해 지금까지 총 1.02배의 평균 투자 수익률(ROI)이 기록됐다.

최근 스타터 플랫폼에서 신규 상장된 주요 프로젝트는 ▲타이코(Taiko, 0.194배) ▲엑스테리오(Xterio, 3.22배) ▲잽(ZAP, 0.0989배) ▲아이겐파이(Eigenpie, 1.5배)로 나타났다.

24시간 기준 상위 수익률을 기록한 프로젝트는 ▲디챗(Dechat, +87.0%) ▲아미 오브 포춘 메타버스(Army of Fortune Metaverse, +54.0%) ▲인스펙트(Inspect, +4.21%) ▲심바이오시스 파이낸스(Symbiosis Finance, +2.89%) ▲베이퍼 월렛(Vapor Wallet, +1.52%)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