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점 & 반등 시그널] PENGU·BONK 등 최대 70% 기술 반등...단기 매수세 유입 주목

| 강이안 기자

급락 이후의 되돌림 흐름은 단기 매수세 유입 여부를 가늠하는 하나의 힌트가 될 수 있다. ‘저점(Dip)’은 최근 7일 최저가를, ‘반등(Bounce)’은 해당 저점 대비 상승률을 뜻한다. 이를 통해 기술적 반등 흐름과 시장의 수요 반응을 함께 살펴볼 수 있다. 조정 구간 이후 가격이 눈에 띄게 회복된 종목은 다음 추세 전환 가능성을 시사할 수도 있다.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가격 패턴을 바탕으로 반등 흐름이 감지되는 자산을 소개한다. [편집자주]


주간 반등률 TOP 5

① 펭구(PENGU) +70.53%, –8.69% 저점 0.009066달러|고점 0.01704달러|현재 0.015562달러

주간 저점 0.009066달러에서 약 70% 가까이 급등하며 강한 기술적 반등세를 연출했다. 주간 고점 0.01704달러를 형성한 뒤에는 소폭 조정을 거쳐 현재 0.015562달러 수준에서 거래 중이다. 바닥권 매수세가 집중되며 수요 탄력성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이며, 당분간 고점 저항 돌파 여부가 추가 상승의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② 봉크(BONK) +35.35%, –1.88% 저점 0.00001296달러|고점 0.00001755달러|현재 0.00001722달러

저점 0.00001296달러에서 고점 0.00001755달러까지 35% 이상 반등했다. 이후 단기 차익실현 매물에도 불구하고 현재 0.00001722달러로 하락폭은 제한적이다. 밈코인 중심의 거래 심리가 다시 살아나면서 단기 유동성 유입이 활발히 이뤄진 것으로 분석된다.

③ 파트코인(FARTCOIN) +35.81%, –3.91% 저점 0.9423달러|고점 1.28달러|현재 1.23달러

저점 0.9423달러에서 1.28달러까지 상승하며 35% 넘는 반등 폭을 기록했다. 현재는 1.23달러로 소폭 눌림세에 머물고 있다. 중저가권 매수세 유입이 뚜렷했던 구간으로, 단기적으로는 1.30달러 이상 돌파 시 신규 추세 전환 가능성이 제기된다.

④ 도그위프햇(WIF) +26.58%, –2.11% 저점 0.7505달러|고점 0.95달러|현재 0.93달러

저점 0.7505달러에서 0.95달러까지 반등 후, 현재 0.93달러 선을 유지하고 있다. 주간 기준 약 26%의 상승 흐름이 확인됐으며, 단기 조정폭은 제한적이다. 중단기 추세 전환 초입 국면일 수 있으며, 거래량 확대 여부가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⑤ 셀레스티아(TIA) +27.82%, –2.94% 저점 1.33달러|고점 1.70달러|현재 1.65달러

저점 1.33달러에서 1.70달러까지 상승하며 약 28% 반등했다. 이후 현재 1.65달러에서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고점 대비 조정폭은 3% 미만으로 양호한 흐름이다. 최근 지속된 하락세에서 회복세로 돌아서는 초기 시그널로 해석할 수 있으며, 단기 반등세가 추가 상승 동력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이밖에 ▲주피터(JUP, +22.84%, –1.16%) ▲SPX6900(SPX, +20.74%, –5.67%) ▲아비트럼(ARB, +20.45%, –8.47%) ▲버추얼스 프로토콜(VIRTUAL, +20.36%, –2.28%) ▲인젝티브(INJ, +18.85%, 0.00%) 순으로 높은 주간 반등률이 확인됐다.

주간 조정폭 제한·확대 자산

주간 반등 이후 고점 대비 하락률이 제한되며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된 자산은 ▲파트코인(FARTCOIN, +0.98%) ▲라이트코인(LTC, +0.25%) ▲헤데라(HBAR, +0.25%) ▲카스파(KAS, +0.21%) ▲카르다노(ADA, +0.02%)이다.

▲파트코인 +30.64%, ▲헤데라 +13.10%, ▲카르다노 +13.40% 등 높은 주간 반등률을 기록한 후에도 매도세 유입이 거의 없거나 오히려 고점을 소폭 상회하는 흐름을 나타냈다.

고점 대비 하락률이 가장 컸던 자산은 ▲플레어(FLR, –27.57%) ▲파이네트워크(PI, –16.11%) ▲카이아(KAIA, –12.59%) ▲지토(JTO, –10.40%) 등이다.

일시적인 저점 매수세에 힘입은 고점 형성 이후 단기 차익 실현 매물이 대거 출회되며 가격이 크게 조정된 것으로 해석된다.

일간 반등률 TOP 5

① 봉크(BONK) +35.35%, –1.88% 저점 0.00001296달러|고점 0.00001755달러|현재 0.00001722달러

봉크는 이날 저점 0.00001296달러에서 고점 0.00001755달러까지 35% 이상 반등했다. 이후 단기 차익실현 매물에도 불구하고 현재 0.00001722달러로 하락폭은 제한적이다. 밈코인 중심의 거래 심리가 다시 살아나면서 단기 유동성 유입이 활발히 이뤄진 것으로 분석된다.

② SPX6900(SPX) +20.74%, –5.67% 저점 1.07달러|고점 1.37달러|현재 1.30달러

SPX는 저점 1.07달러에서 20% 넘게 반등해 1.37달러 고점을 형성한 뒤, 현재는 1.30달러까지 다소 조정된 모습이다. 다만 고점 대비 낙폭이 크지 않고 반등 구간이 뚜렷한 만큼, 향후 재반등 시도 가능성도 열려 있다.

③ 아비트럼(Arbitrum, ARB) +20.45%, –8.47% 저점 0.2953달러|고점 0.3886달러|현재 0.3582달러

일간 최저점인 0.2953달러에서 약 20% 반등하며 0.3886달러의 고점을 기록했으나 이후 다소 강한 조정을 받으며 현재 0.3582달러 수준에 머물고 있다. 반등과 조정 모두 강하게 나타나며 변동성이 확대된 모습이다.

④ 버추얼스 프로토콜(VIRTUAL) +20.36%, –2.28% 저점 1.39달러|고점 1.71달러|현재 1.68달러

저점 1.39달러에서 1.71달러까지 반등한 뒤 현재 1.68달러에서 거래 중이다. 고점 대비 낙폭은 크지 않으며 가격대가 상단 박스권에 위치해 있는 만큼 돌파 여부에 따라 중단기 추세 방향이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⑤ 인젝티브(Injective, INJ) +18.85%, 0.00% 저점 10.08달러|고점 11.98달러|현재 11.96달러

저점 10.08달러에서 약 19% 반등한 뒤 고점 11.98달러에서 크게 조정 없이 현재 11.96달러를 유지하고 있다. 조정 없이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강세 종목으로, 투자 심리가 강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밖에 ▲주피터(JUP, +22.84%, –1.16%) ▲SPX6900(SPX, +20.74%, –5.67%) ▲아비트럼(ARB, +20.45%, –8.47%) ▲버추얼스 프로토콜(VIRTUAL, +20.36%, –2.28%) ▲인젝티브(INJ, +18.85%, 0.00%) 순으로 높은 일간 반등률이 확인됐다.

일간 조정폭 제한·확대 자산

이날 반등 이후 고점 대비 하락률이 제한적인 수준에 그치며 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자산은 ▲톤코인(TON, +3.91%, 0.00%) ▲USDC(+0.07%, 0.00%) ▲DAI(+0.04%, 0.00%) ▲BUIDL(0.00%, 0.00%) ▲Four(FORM, +0.53%, –0.35%) 등이다.

반등 이후 고점 대비 하락폭이 컸던 자산은 ▲스카이(SKY, +7.07%, –7.77%) ▲에테나 스테이크드 USDe(SUSDE, +0.18%, –5.93%) ▲USDS(–0.01%, –3.99%) ▲SPX6900(SPX, +9.53%, –2.87%) ▲PayPal USD(PYUSD, +3.98%, –0.08%) 순이다.

고점 부근에서 단기 차익 매물이 유입되며 가격이 조정을 받은 모습이다. 특히 스카이는 고점 대비 약 8% 가까이 하락해 단기 매물 부담이 두드러진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