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한 선물은 투자 심리에 따라 현물과 가격 차이가 생긴다. 선물 시장은 펀딩비(Funding Rate)를 통해 이러한 가격차를 조정한다. 선물 가격이 높으면 롱이 숏에게, 낮으면 숏이 롱에게 펀딩비를 지급해 현물과 선물 가격 균형을 맞춘다. 이 구조를 활용, 현물을 매수하고 선물에서 숏을 잡아 자산의 가격 변동을 헤징한 상태에서 펀딩비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 전략이 있다.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 높은 펀딩비로 수익 기회를 나타내는 상위 종목들을 정리했다. [편집자주]
7월 3일 오후 9시 46분 기준, 데이터맥시플러스에 따르면 펀딩비 차익 전략에서 가장 높은 수익 기회를 보인 종목은 Humanity Protocol(H)이다.
MEXC 거래소에서 선물 롱 포지션을 취하고, Gate.io에서 같은 종목에 마진 숏 포지션을 구성할 경우 -0.00818의 펀딩비가 적용돼 연환산 수익률은 무려 71.66%에 이른다. 1만 달러 기준 연간 예상 펀딩비 수익은 약 35만 7,906달러로 분석된다.
두 번째 전략도 동일한 종목과 펀딩비 수준(-0.00818)으로, MEXC 선물과 Bitget 현물 간 조합이다. 연환산 수익률과 수익은 첫 번째 전략과 동일한 수준에 이른다.
세 번째로는 Binance에서 선물 포지션, Bitget에서 숏 포지션을 구성하는 전략이다. 이 경우 펀딩비는 -0.00808이며, 연환산 수익률은 70.81%, 연간 예상 수익은 약 35만 3,652달러 수준이다.
네 번째 전략은 Binance와 Gate.io 조합으로 같은 펀딩비(-0.00808)가 산정되며, 수익률과 수익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마지막 다섯 번째 전략은 Gate.io 내에서 선물과 현물을 둘 다 사용하는 방식으로, 펀딩비는 -0.00729이며 연환산 수익률은 63.83%, 예상 수익은 약 31만 8,788달러로 추산된다.
이러한 전략은 선물 롱과 현물 숏의 조합으로 음(-)의 펀딩비 유입을 통한 차익 실현을 목표로 한다. 특히 8시간마다 반복되는 높은 음수 펀딩 구조는 단기 전략 수행도 가능하게 하며, 수익 실현 기회를 높인다.
최고·최저 펀딩비 / 데이터맥시플러스이 시각 최고·최저 펀딩비 종목
🔼 최고 펀딩비 상위 5종목
▲ Bybit의 BSW (0.00095853, 연환산 약 2.10%)
▲ Binance의 BSW (0.00088859, 연환산 약 1.95%)
▲ MEXC의 BSW (0.000862, 연환산 약 1.89%)
▲ Gate.io의 SCA (0.000848, 연환산 약 1.86%)
▲ OKX의 SLERF (0.00069403, 연환산 약 1.52%)
🔽 최저 펀딩비 하위 5종목
▲ MEXC의 BSW (-0.004718)
▲ Binance의 BSW (-0.00461981)
▲ Bybit의 BSW (-0.00421066)
▲ Gate.io의 SCA (-0.008412)
▲ Gate.io의 SCA (-0.00804)
펀딩비가 높거나 양수일 경우, 롱 포지션 수요가 높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상대적으로 비싼 상황으로, 롱 포지션이 숏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해야 한다. 투자자는 현물 매수와 선물 숏(공매도) 전략을 구사해 펀딩비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반대로, 펀딩비가 낮거나 음수일 경우, 숏 포지션 수요가 많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낮아 숏 포지션이 롱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해야 한다. 투자자들은 현물 매도와 선물 롱 전략을 활용해 펀딩비 차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펀딩비 차익거래는 시장 변동성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노릴 수 있는 전략으로, 장기적인 시장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펀딩비는 시장 참여자의 포지션 비율에 따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거래소별 펀딩비 차이와 자금 비용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 기사는 금융 자문을 제공하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