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 동안 물리적인 형태의 비트코인(BTC)을 보관했던 한 암호화폐 이용자가 최근 코인을 하드웨어 지갑으로 옮긴 사연이 공개돼 눈길을 끌고 있다.
5월 13일, 비트코인포럼(BitcoinTalk) 사용자 ‘존 골트(John Galt)’는 자신이 보유해온 카사시우스(Casascius) 바에서 100 BTC(약 139억 원)를 하드웨어 지갑으로 이체했다고 밝혔다. 카사시우스 바와 코인은 비트코인의 실제 ‘물리적’ 형태로 제작된 수집품으로, 필름 형태로 제품에 붙어 있는 프라이빗 키를 통해 해당 비트코인을 사용할 수 있다.
존 골트는 이 코인을 2012년에 처음 구매했다고 전했다. 당시 비트코인 가격은 100달러(약 13만 9,000원)도 채 되지 않았다. 그는 “그 시절에는 카사시우스 코인이 멋있고, 어쩌면 미래가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며, “비트코인이 성장하면 이 코인들이 역사의 일부가 될 수 있을 것 같아 수집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물리적 비트코인 보유자는 드물고, 10년 이상 프라이빗 키를 노출하지 않고 코인을 보관해온 사례는 더욱 희귀하다. 이로 인해 이번 이체는 투자자들과 수집가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특히 존 골트가 보유했던 100 BTC는 오랜 시간 동안 이체 기록이 없어 ‘슬리핑 비트코인’으로 간주됐던 자산이다.
이번 사례는 디지털 형식을 넘어선 초기 비트코인 수집 문화와 장기 보유 전략의 상징적인 예로 평가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개인 보관에 대한 철저한 보안 의식이 없었다면 현실화될 수 없었던 사례”라며, “하드웨어 지갑 이전은 단순한 이체가 아니라 장기 보유에 따른 전략적 자산 존속 방식”으로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