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하라 AI, 게이트아이오 랩스, 체인부스트가 각각 프로젝트·펀드·플랫폼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투자자 관심을 모았다.
8일 기준 체인브로커에 따르면 글로벌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3조4100억 달러, 24시간 거래량은 885억 달러를 기록 중이다. 비트코인은 10만7988달러, 이더리움은 254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디파이 총예치액(TVL)은 1150억 달러로, ▲이더리움 271억 달러(23.6%) ▲트론(54억5000만 달러) ▲BNB 체인(46억7000만 달러) ▲아비트럼(24억2000만 달러) ▲옵티미즘(8억9800만 달러) 순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거래소의 24시간 거래량은 ▲바이낸스(137억 달러) ▲MEXC 글로벌(30억8000만 달러) ▲게이트아이오(26억 달러) ▲바이비트(24억6000만 달러) ▲비트겟(22억2000만 달러) ▲HTX(21억7000만 달러) ▲크립토닷컴(19억7000만 달러) ▲코인베이스(17억 달러)이다.
오늘의 프로젝트 '사하라 AI'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암호화폐 프로젝트 수는 총 3513개이며 상승 중인 프로젝트는 369개, 하락 중인 프로젝트는 978개이다. 이 중 AI 인프라 프로젝트 사하라 AI(Sahara AI)가 투자 수익률(ROI) 7.37배를 기록하며 오늘의 프로젝트로 선정됐다.
사용자 관심 기준 ▲사하라 AI ▲스타크넷 ▲아비트럼 ▲온도 파이낸스, 일간 상승률 기준 ▲빅토런(+56.5%) ▲엘드그레이드(+53.9%) ▲스타리(+46.1%) ▲벨라(+41.9%) ▲에이전트레이어(+41.1%)가 상위권에 올랐다.
오늘의 펀드 '게이트아이오 랩스'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417개 크립토 펀드 중 113개가 24시간 수익률 상승세를, 301개는 하락세를 기록했다.
▲메이어 캐피털(+23.2%) ▲유나니머스 캐피털(+14.2%) ▲솔라나 캐피털(+9.49%) ▲크립토스(+8.94%) ▲조쿄(+8.1%)가 이날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사용자 관심이 높은 펀드는 ▲a16z(5.13배) ▲바이낸스 랩스(2.89배) ▲코인베이스 벤처스(2.33배) ▲판테라 캐피털(1.55배) 순이다.
'오늘의 펀드'에는 게이트아이오랩스(Gate.io Labs)가 선정됐다. 투자 수익률(ROI)은 0.193배다.
펀드 종목 중 ▲베리다(+43.1%) ▲테노아(+11.7%) ▲버지엑스체인(+8.55%) ▲덕체인(+8.3%) ▲언클드(+7.7%)가 이날 최고 수익률을 기록했다.
가장 최근 투자 사례는 ▲ARAI(400만 달러) ▲Gata(400만 달러) ▲Capx AI(314만 달러) ▲Coral Finance(300만 달러) ▲Fireverse(250만 달러)가 있다.
오늘의 플랫폼 '체인부스트'
유망한 신규 프로젝트와 투자자를 연결하는 '론치패드' 플랫폼은 총 115개이며 일간 수익률이 상승한 플랫폼은 26개, 하락한 플랫폼은 79개로 나타났다. 평균 최고 수익률은 22배, 평균 ROI는 0.5배이며 평균 스테이킹 금액은 16.36달러였다.
이달 ROI 기준 상위 플랫폼은 ▲코인리스트(11.2배) ▲바이낸스 런치패드(6.38배) ▲바이낸스 월렛(5.15배) ▲OKX 점프스타트(3.43배) ▲OKX 월렛(3.04배)이다.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바이낸스 월렛(962억 달러) ▲바이낸스 런치패드(962억 달러) ▲OKX 점프스타트(28억8800만 달러), 관심도 기준으로는 ▲바이비트(0.975배) ▲폴카스타터(0.475배) ▲바이낸스 런치패드(6.38배)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오늘의 플랫폼'으로는 체인부스트(Chainboost)가 선정됐다. 현재까지 총 215만 달러의 자금을 모집했으며, 평균 최고 수익률(ATH ROI)은 23.6배, 전체 평균 투자 수익률(ROI)은 0.0249배를 기록 중이다.
최근 해당 플랫폼에 새롭게 상장된 주요 프로젝트는 ▲GPT 워즈(0.0366배) ▲에스테이트엑스(0.0배) ▲미들(0.042배) ▲펜타곤 게임즈(0.0282배) 등이다.
하루 동안 갤럭시 파이트 클럽(+0.692%)이 유일하게 상승했으며 스포어스 네트워크, 도미, 도즈, 크라이워 등은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오늘의 카테고리는 '프라이버시(Privacy)'
전체 32개 암호화폐 카테고리 중 상승 부문은 6개, 하락 부문은 26개로 집계됐다. 시가총액 기준 상위 카테고리는 ▲스마트컨트랙트 플랫폼(5040억 달러) ▲중앙화 거래소(1710억 달러) ▲탈중앙화 거래소(246억 달러)다. '오늘의 카테고리'로 ROI 0.66배를 기록한 프라이버시(Privacy) 부문이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