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2025 부자 지도 공개…바이낸스·로빈후드·美 정부 대량 보유

| 김민준 기자

비트코인(BTC)은 2025년 7월에도 여전히 탄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현물 비트코인 ETF로의 자금 유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거래소 보유량은 뚜렷하게 줄어드는 추세다. 이는 시장의 투자자 신뢰 회복과 장기 보유 문화 확산을 반영하는 지표로 해석된다.

최근 시장을 깜짝 놀라게 한 사건도 있었다. 무려 20,000 BTC(약 2,918억 원)가 2011년 이후 단 한 번도 움직이지 않았던 지갑에서 갑자기 이체된 것이다. 이 자금은 거래소로 이동하지 않고, 새로운 미확인 주소로 전송됐다. 이처럼 장기 휴면 상태였던 고래 지갑의 깨어남은 비트코인 보유 구조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그렇다면 2025년 현재, 누가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을까? 최근 공개된 ‘2025 비트코인 부자 리스트’에 따르면, 거래소, ETF, 대기업, 그리고 암호화폐 억만장자들이 여전히 BTC의 절대다수를 장악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부문은 거래소다. 바이낸스(Binance)와 로빈후드(Robinhood)는 각각 가장 큰 BTC 보유 지갑을 운영 중이다. 이들이 보유한 BTC 규모는 단순한 보관 목적을 넘어, 시장 전체 유동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다.

기업 부문에서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가 단연 상위권이다. 현재 이 회사는 무려 60만 BTC에 가까운 물량을 보유하며 기업 중 최대 규모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전략적 장기 보유 관점에서의 대표 사례로, 많은 기관 투자자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

국가 중에서는 미국 정부가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 중이다. 사법 당국이 범죄 수사 과정에서 압수한 물량 등을 포함해, 총 207,189 BTC(약 3조 226억 원)에 달하는 규모다. 이는 전 세계 주권 국가 중 최대치로, 국가 차원의 간접적 시장 영향력 확대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 밖에도, 중간 규모 지갑들의 증가가 주목된다. 과거와 달리 더 많은 개인 및 중소 기관들이 BTC를 축적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비트코인의 대중적 수용도 확대를 의미하는 신호로 해석된다.

결국 2025년 비트코인 보유권의 구조는 여전히 극도로 집중된 분포 형태를 보이고 있지만, 점차 다양한 주체들의 진입으로 균형에 변화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 ETF를 통한 수요 확대와 장기 보유 트렌드는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며, 이는 BTC의 시장 안정성과 희소성 가치를 한층 더 끌어올릴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