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암호화폐 규제 완화 검토…스테이블코인 실험 장 열리나

| 손정환 기자

중국이 암호화폐 정책에 있어 중대한 방향 전환을 검토 중인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상하이 지역의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SASAC)는 최근 디지털 자산과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전략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해 수십 명의 정부 관계자들과 회의를 진행했다. 이처럼 공식적으로는 거래와 채굴이 모두 금지된 중국에서 고위 기관이 암호화폐 정책 논의를 본격화한 것은 중대한 변화의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회의에 참석한 당국자들은 기술 혁신에 한층 유연한 접근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기존의 강경한 입장에서 벗어나, 첨단 금융기술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특히 상하이는 명목 국내총생산 7,290억 달러(약 1,012조 7,100억 원)를 자랑하는 중국 최대 금융도시로, 중앙정부로부터 자율적 금융 실험권을 부여받는 경우가 많아 암호화폐 수용의 시험장이 될 수도 있다.

민간 부문의 압력도 점차 커지고 있다. 중국 전자상거래 대기업 JD닷컴과 핀테크 기업 앤트그룹은 위안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대한 인가를 중국인민은행으로부터 얻기 위해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디지털 결제 생태계를 추진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한편,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암호화폐 산업 수용 가속화도 중국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은 규제 명확화와 제도 정비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과 디지털 자산 수용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국제적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한 대응 차원에서 중국 역시 입장을 재고하는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이번 움직임이 아직 정책 전환으로 단정 짓긴 이르다면서도, 만약 상하이를 중심으로 디지털 자산 실험이 현실화될 경우 중국의 암호화폐 시장 재진입 포석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전문가는 “중국 당국이 통제 가능한 규제 환경을 마련한 뒤 부분적인 시장 개방을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