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낸스 창펑 자오, '코인베이스가 트럼프 암호화폐 프로젝트 방해' 주장 공유

| 손정환 기자

암호화폐 업계가 다시 한 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바이낸스 창립자 창펑 자오(CZ)가 코인베이스($COIN)가 트럼프 대통령의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겨냥한 배후 세력이라는 주장을 SNS에 공유하면서, 시장 내부의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해당 내용은 암호화폐 인플루언서 맷 월리스가 제기한 것으로, 그는 코인베이스가 트럼프의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과 바이낸스를 동시에 겨냥해 부정적인 보도를 유도했다고 주장했다.

월리스에 따르면, 코인베이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할 경우 CZ에 대한 법적 사면 가능성이 생기고, 이를 계기로 바이낸스가 미국 시장에 재진입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를 우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바이낸스는 글로벌 거래량 1위 거래소지만, 미국에서의 공식 활동은 제한된 상태다. 월리스는 코인베이스가 높은 거래 수수료와 고객 서비스 불만을 안고 있어, 바이낸스의 복귀가 현실화된다면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는 현실적인 위협을 느꼈다고 분석했다.

특히 논란이 된 부분은 바로 트럼프 대통령의 암호화폐 프로젝트 자체를 코인베이스가 공격 대상으로 삼았다는 단서다. 월리스는 “이는 반(反)미국적 행동이며, 향후 실체가 증명된다면 당사자가 이를 인정할 것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특정 정치 프로젝트나 인물을 거래소가 직접적으로 견제하려 했다는 주장은 업계에서 유례없는 사안이다.

그러나 코인베이스 측은 이를 즉각 부인했다. 폴 그레왈(Paul Grewal) 코인베이스 최고법률책임자(CLO)는 X(구 트위터)를 통해 “해당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닌 허위 정보"라며 강하게 반박했다. 그는 “우리는 경쟁자를 공격하지 않으며, 암호화폐 생태계를 확장하려는 모든 기업을 환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확한 출처를 알고 싶다면 잘못된 방향이 아닌 올바른 곳을 찾아보라”고 덧붙였다.

이번 사안은 단순한 소문과 해프닝으로 끝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암호화폐 지지 성향을 대중적으로 명시한 이후, 정치와 블록체인의 경계는 점점 더 모호해지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주요 거래소들이 정치적 이해관계에 얽힐 가능성은 무시할 수 없는 변수가 됐다. 코인베이스와 바이낸스 간 보이지 않는 경쟁 구도에, 트럼프의 이름까지 얽히면서 사태의 향방은 더욱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