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데이 트레이딩 혁명: Grok·ChatGPT 조합으로 암호화폐 초단타 대응 강화

| 김민준 기자

암호화폐 시장에서 하루 동안의 가격 변동성을 포착해 수익을 노리는 데이 트레이딩 방식은 빠른 판단과 리스크 관리가 필수다. 최근에는 단시간 내 데이터 분석과 전략 수립이 가능한 AI 기반 도구들이 등장하면서, 이 같은 단기 매매 전략에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트위터를 기반으로 실시간 감정을 포착하는 Grok과 전략 수립에 특화된 ChatGPT가 조합되며, 일부 트레이더들은 시장 변화를 선제적으로 포착하고 대응하는 데 이점을 누리고 있다.

Grok은 X(구 트위터)에서 급격한 포스팅 증가나 감정 변화 조짐이 일어나는 종목을 포착한다. 이는 종종 단기 가격 급등으로 이어지지만, 신뢰할 수 있는 신호만은 아니다. 여기서 ChatGPT가 개입한다. AI가 감지한 신호를 바탕으로 진입 시점, 손절선, 목표가를 기술적 분석과 펀더멘털 추세에 맞춰 구체화해준다.

이 조합은 감정적인 매매나 조작된 흐름에 휘말리지 않도록 방어장치도 제공한다. 높은 거래량 여부, 고래 지갑 움직임, 기타 확인 지표 등을 교차 검증함으로써 보다 신중한 매매 판단을 유도한다. 또한, 거래 완료 후 ChatGPT를 통한 거래 일지 작성은 반복되는 실수를 줄이고 스스로 거래 시스템을 정립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암호화폐 데이 트레이딩은 전통 금융시장 대비 확연히 다른 방식을 요구한다. 시장은 24시간 열려 있고, 유동성은 낮은 경우가 잦으며, 커뮤니티나 소셜 미디어에서 형성된 감정이 가격에 직결되기도 한다. Grok과 같은 툴이 등장하게 된 배경이기도 하다. 예컨대 2025년 6월 초, 솔라나(SOL)의 디파이(DeFi) 생태계 거래량이 급증하고 총 예치금(TVL)이 90억 달러(약 12조 5,100억 원)를 돌파했을 당시, Grok은 조기 감정 상승을 포착했고, ChatGPT는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매매 전략을 자동화하는 데 활용됐다.

Grok 플랫폼은 x.com 또는 전용 앱에서 접근 가능하며, 무료 사용자의 경우 하루에 최대 10개 메시지, 이미지 분석은 세 번까지 제공된다. 다만, 실시간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종목을 포착하는 데는 유료 버전 활용이 유리하다. Premium+ 요금제(월 16달러, 연 168달러 / 약 2만 2,200원, 약 23만 3,500원)부터는 감정 분석 정밀도도 향상된다. 예를 들어, “파이코인에 대한 X 상 감정은 어떠한가요?”와 같은 질문을 던지면, AI는 게시물 급증량, 긍·부정 감정 흐름, 이전 급등 사례 등을 기반으로 차트 및 요약을 제공한다.

결국 중요한 건 도구보다도 이를 다루는 사용자의 판단력이다. 구조화된 매매 전략 위에 데이터 기반의 AI 보조가 겹쳐질 때, 시장의 소음을 뚫고 실행력 있는 결정이 가능해진다. 데이 트레이딩의 경쟁력은 속도와 정확성에 있고, AI는 이 둘 중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점점 더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