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다시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 선을 향해 반등하면서 투자자들의 시선은 자연스레 다음 목표인 13만 달러(약 1억 8,070만 원)와 15만 달러(약 2억 850만 원)에 집중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술적 요인, 정책 환경, 그리고 수요 기반의 확대가 맞물리면서 장기적으로 비트코인이 이 같은 고점을 달성할 수 있는 여건이 무르익고 있다고 판단한다.
이번 비트코인의 급등은 지난 일요일 밤 선물 시장에서 발생한 숏 스퀴즈가 결정적이었다. 이로 인해 시장 전반에서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 이상의 포지션이 청산됐으며, 단기적으로 가격이 12만 달러를 상회하는 흐름이 연출됐다. 다만, 해당 수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현물 거래의 강한 매수세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인텔레그래프의 마켓 부문 책임자 레이 샐몬드는 이에 대해 “중앙화 거래소에서는 즉각적인 수요를 파악하기 어렵지만, 비트코인 ETF를 통한 글로벌 수요, 상장기업들의 BTC 자산 확대, 그리고 비트코인 인프라 구축에 나서는 다양한 기업들을 보면 유의미한 현물이 존재하는 것은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단기적인 시장 변동은 최근 발표된 소비자물가지수(CPI) 및 생산자물가지수(PPI)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새로운 관세 정책의 영향력이 일시적으로 시장을 위축시켰기 때문이다. 하지만 8월 1일부터 발효되는 해당 정책에 대해 시장이 어느 정도 해석을 마치면서, 주초에 나타났던 위험 회피 성향은 빠르게 지나간 분위기다.
이와 관련해 코인텔레그래프 마켓 리서치팀은 “비트코인 15만 달러는 더 이상 환상적인 목표가 아니다”며, ETF 자금 유입과 온체인 데이터를 근거로 추가 상승 가능성을 시사했다. 비트코인 마켓 구조와 다양한 채택 확산을 고려할 때, 트럼프 정부의 확장적 경제 정책까지 가세한다면 BTC의 중장기 목표가 15만 달러를 넘어설 가능성도 충분하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