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지금은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종목의 고질적 저평가)를 해소하고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로 나아갈 '골든타임'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혁신 조처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17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서 회장은 전날 금투협 기자단 간담회에서 "코스피 5000은 단순 지수 상승이 아니라 자본시장과 실물경제가 질적 도약할 수 있도록 사회 구조의 틀이 함께 변화해야 도달할 수 있는 목표"라며 이처럼 강조했다.
서 회장은 현 정부가 추진하는 배당소득 분리과세에 대해 적극적 지지 의사를 밝혔다. 배당이 늘면 국민 자산이 불어나고 소비가 촉진돼 세수 감소를 충분히 상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서 회장은 중소형 증권사를 위해서는 영업용순자본비율(NCR)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결국은 돈이 있어야 하는데, 돈을 조달하기 쉬운 대형사나 조달하기 어려운 중소형사 모두 똑같은 규제를 적용받는다"며 "대형사는 돈이 많기에 투자했다가 실패해도 다시 투자할 수 있지만, 중소형사는 투자했다가 실패하면 회사가 휘청인다"고 설명했다.
서 회장은 자본시장 도약을 위한 신사업 발굴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가상자산 기반의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도입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원화 스테이블코인(실물에 연계된 암호화폐)과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BDC)의 제도화를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고 전했다.
새 정부에서 논의되는 금융감독 체계의 전환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서 회장은 "금융감독원과 독립된 조직인 금융소비자보호원이 생기니 금융투자업계에서 부담스러운 게 사실"이라며 "금융투자업은 혁신적인 사업에 적극적인데 주저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 생기니 잘 고민해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서 회장은 연임 도전 여부에 관해선 말을 아꼈다. 그의 임기는 올해 말까지다.
그는 "지금은 회장이나 협회가 정말 중요한 시기이기에 앞으로 있을 1개월, 2개월, 3개월간 올인을 해야 하고, 올해 9월이나 10월에 (출마를) 이야기해도 늦지 않다"고 전했다.
서 회장은 "협회 차원에서 아직 많은 과제가 남아 있다"며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비과세 및 납입한도 확대, 우리아이자립펀드 입법지원, 공모펀드 직상장, 자본시장 밸류업 등의 과제를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