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실제 보유 비트코인은 2.9만개…추정치 15%에 불과

| 손정환 기자

미국 집행관국(USMS)이 비트코인(BTC) 2만 8,988개를 보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기존 추정치였던 약 20만 BTC 대비 불과 15% 수준에 불과해, 나머지 물량의 행방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번 수치는 독립 언론인 로라 리츠(L0la L33tz)가 지난 3월 24일 자유정보법(FOIA)에 따라 제출한 정보공개 요청에 따라 공개된 자료를 기반으로 한다. 7월 15일 자로 발표된 공식 서한은 미 법무부 자산몰수국(Asset Forfeiture Division)이 제공한 문서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민감한 정보는 보안상 이유로 일부 비공개 처리됐으며, 여기에는 비트코인 저장 방식과 지갑 주소, 보안 시스템 정보 등이 포함됐다.

USMS가 보유 중인 2만 8,988 BTC는 현재 시세 기준으로 약 3조 8,763억 원(약 25억 달러)에 이른다. 개별 지갑의 보유액은 최소 446만 원(약 3,211달러)에서 최대 1,400억 원(약 1억 달러) 수준까지 다양하게 분포돼 있다. 디지털 자산이 범죄 혐의에 연루될 경우, 자산은 반드시 법원의 몰수 절차를 거친 뒤에야 정부 자산으로 전환된다. 이 과정이 완료된 자산만 USMS가 정식 보관·청산토록 돼있다.

이번 발표 이후 가장 큰 쟁점은 정부가 실제로 비트코인을 대거 매각했는지 여부였다. 미 와이오밍주 상원의원 신시아 루미스(Cynthia Lummis)는 X(옛 트위터)를 통해 정부가 비트코인 보유량의 80% 이상을 매각했다면 우려할 만한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루미스 의원은 이전부터 몰수된 디지털 자산을 활용해 국가 전략 비트코인 준비금을 마련하자고 주장해왔다.

이에 대해 리츠는 정확한 맥락을 부연했다. 몰수된 디지털 자산이라도 법원의 판결 없이는 명백한 '정부 소유'로 간주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이번에 공개된 수치는 이미 몰수 절차가 완료돼 정부에 귀속된 2만 8,988 BTC만 포함되며, 나머지 약 17만 BTC는 아직 법적 절차가 진행 중인 임시 압류 자산이라는 것이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아캄 인텔리전스(Arkham Intelligence)에 따르면 미 정부는 약 27조 9,200억 원(약 198,000 BTC, 약 230억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통제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여기에는 소유권이 아직 확정되지 않은 자산까지 포함돼 실제 '활용 가능한' 보유량과는 차이가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로 9만 4,000 BTC 규모의 비트파이넥스 해킹 자금이 있으며, 이는 현재 정부가 통제하고 있지만 법원 판결 전까지는 매각이 불가능하다.

이번 데이터는 미국 정부 보유 BTC 자산의 실체를 보다 명확히 드러내며, 투명성에 대한 요구나 전략적 운용에 관한 논의를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아직 실소유권이 확정되지 않은 디지털 자산이 상당수 존재하는 만큼, 향후 정부의 암호화폐 정책 및 자산운용 방침을 지속적으로 주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