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상속도 전략 시대…개인 키 없으면 1.57백만 BTC 사라질 수도

| 김민준 기자

디지털 자산 보유자라면 암호화폐 상속 계획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같은 암호화폐는 전통적인 금융 자산과 달리 오직 개인 키와 시드 문구로 통제되기 때문에, 해당 정보를 상속인에게 전달하지 못하면 누구도 그 자산을 복구할 수 없다. 매년 수천억 원어치 암호화폐가 소유주의 부재나 기술적 무지로 인해 회수 불가능한 상태로 남겨지는 것이 현실이다.

암호화폐는 중앙 은행이나 금융 기관이 관리하는 계좌가 아니므로, 종이 유언장을 통한 전통적 상속 방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특히 상속인이 디지털 지갑과 관련된 기초 지식이 없거나 필요한 접근 정보를 받지 못했을 경우, 자산 전체가 사라질 위험이 있다. 실제로 유통 중인 비트코인의 약 7.5%에 해당하는 1.57백만 BTC가 영구 분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려면, 생전에 명확한 암호화폐 상속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계획에는 자산 명세서, 지갑 접근 지침, 신뢰할 수 있는 집행자 지명 등이 포함돼야 한다. 동시에 상속 과정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암호화된 파일, 봉인 문서, 탈중앙화 신원(DID) 도구 등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일반 유언장에 민감한 정보가 노출되면 해킹 위험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산을 완전히 본인이 직접 관리하는 비수탁형 지갑과 보다 간편한 접근이 가능한 수탁형 솔루션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것도 핵심이다. 모든 자산을 중앙화 거래소에 맡기거나, 중요한 키를 가족에게 문자로 보내는 등의 보안상 부주의한 행위는 피해야 한다. 명확한 관리 체계가 없다면 유산 상속은커녕 자산 손실로 이어진다.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디지털 자산 시대, 암호화폐 상속 계획은 단순한 자산 이전을 넘어 사랑하는 사람에게 안전하게 디지털 유산을 넘기는 과정이다. 기술적 요소가 복잡하더라도, 생전에 체계적 준비를 해두면 유족은 법적 분쟁 없이 자산을 바로 승계 받을 수 있다. 암호화폐를 보유한 사람이라면 ‘나 없는 이후’를 진지하게 고민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