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최근 뚜렷한 상승세를 이어가며 시가 4,000달러(약 5,560만 원) 돌파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2025년 6월 저점에서 강한 반등을 보였고, 기술적 지표 및 온체인 데이터 모두 상승 흐름을 지지하고 있다.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시점이다.
일간 차트 기준으로 이더리움은 3,300달러(약 4,587만 원) 수준을 저항선에서 지지선으로 전환하며 견고한 상승 구조를 갖췄다. 100일 및 200일 이동평균선의 골든크로스 발생은 중장기 상승세 강화를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RSI(상대강도지수)가 한때 과열권에 진입한 뒤 소폭 조정된 상황에서도 여전히 높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어 매수세가 강력함을 시사한다.
이 같은 가격 조정 후 재돌파 형태는 상승 추세 지속의 전형적인 패턴으로 간주된다. 거래량과 모멘텀 지표가 이를 지지하고 있는 가운데, 가격 움직임이 다시 확대된다면 ETH는 직전 사이클 고점이자 다음 주요 저항인 4,400달러(약 6,116만 원) 부근을 목표로 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3,300달러가 무너지면 하락 조정을 염두에 둬야 하지만, 현재로선 그 가능성은 낮다.
4시간 차트에서도 강한 상승 추세선이 유지되고 있다. 조정이 나올 때마다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됐고, 시장은 아직 이 상승 지지선을 이탈하지 않고 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과매수 권역에 위치한 일간 RSI 등의 영향으로 3,700달러(약 5,143만 원) 아래로 하락할 경우, 3,500달러(약 4,865만 원) 구간까지의 짧은 조정을 겪을 수 있다.
온체인 지표도 매수 심리를 반영한다. 이더리움의 전체 거래소 오픈이자금(Open Interest)은 최근 270억 달러(약 37조 5,300억 원)를 돌파하며 수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레버리지를 활용한 포지션 유입이 급증했음을 나타내며, 시장의 투기적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눈여겨볼 점은 펀딩비율이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이라는 것이다. 적극적이지만 과도하지 않은 시장 분위기는 ETH 상승 여력이 아직 남아있음을 암시한다.
이러한 상승 신호 속에서도 투자자들은 단기 변동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지나친 과열은 롱 포지션의 조정 유발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술적 구조와 투자 심리가 모두 상승 방향을 향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ETH의 4,100달러(약 5,699만 원) 돌파 시도는 예견된 수순처럼 보인다.
결국, 이더리움이 지금의 추세를 유지하며 주요 저항선을 점진적으로 돌파해 간다면, 시장은 다시 한번 강한 상승 세션을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