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비트코인 20만 개 국가 전략자산 검토…XRP 포함 대규모 정책 개편 예고

| 손정환 기자

미국 백악관이 오는 7월 30일(현지시간) 발표할 암호화폐 정책 보고서가 업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해당 보고서는 기존 바이든 행정부 시절 정책을 전면 개편하고, 비트코인(BTC)과 XRP를 핵심 요소로 포함해 시장에 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보고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180일간 대통령 행정명령 14178호에 따라 마련한 첫 주요 디지털 자산 정책 문건이다. 특히 GENIUS 법안을 기반으로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사이의 모호했던 규제 영역을 정리하고, 연방준비제도(Fed)와 연방예금보험공사(FDIC) 등 감독 기관 간의 권한도 재정립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기업과 투자자들이 명확한 규제 지침 하에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된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미국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 구축 계획이다. 보고서에는 미국 정부가 범죄 수사에서 압류한 약 20만 BTC를 국가 자산으로 전환해 금처럼 비축할 가능성이 언급돼 있다. 이럴 경우 비트코인은 역사적으로 처음으로 미국 재정 시스템의 핵심 자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XRP 등 다른 디지털 자산도 국가 단위 보유 전략에 포함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며, 관련 알트코인 시장에도 직접적인 파장이 예상된다.

또한 이번 정책안에서는 스테이블코인에 상당한 비중이 할애됐다. 발행사에 대한 면허 제도를 도입하고, 이들이 연준의 결제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침이 논의된다. 아울러 1달러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이 강한 담보 자산을 바탕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반면,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는 민간 암호화폐 생태계에 불필요한 통제란 이유로 정면 반대하는 입장을 단호히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기준금리를 현행 4.25%~4.50% 수준에서 동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점진적인 긴축 종료 신호를 줄 경우, 암호화폐를 포함한 위험자산 전반에 상승 모멘텀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디지털 자산 관련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면, 글로벌 규제 당국들도 유사한 프레임을 따라갈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특히 비트코인의 국가 자산화 구상이 본격화되면, 전 세계 중앙은행이 암호화폐 보유 전략을 다각도로 검토하는 도미노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 보고서는 단순한 규제 정비를 넘어, 암호화폐의 제도권 편입과 글로벌 금융 시스템 내 위상 변화를 예고하는 기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업계에선 "역사적 전환점이 될 수 있는 한 주가 될 지도 모른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