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Power of 3' 패턴 회귀…12만 달러 돌파 시 상승가속 전망

| 민태윤 기자

비트코인(BTC)이 주말 사이 11만 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선까지 밀렸지만, 최근 조정 흐름이 오히려 반등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시됐다. 특히 'Power of 3' 시장 구조가 살아있다는 점에서 주요 저항선을 돌파할 경우 상승 랠리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암호화폐 시장 분석가들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현재 'Power of 3' 패턴을 따르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보통 이 패턴은 '축적–조작–분배'의 단계로 이뤄진다. 각각 유동성을 따라 움직이며, 기관 자금의 유입 흐름과 개미 투자자들의 ‘후행성’ 있는 매매 패턴과의 괴리를 설명할 때 자주 활용된다.

우선 '축적’ 단계에서는 비트코인 가격이 11만 9,500달러(약 1억 6,585만 원)에서 11만 5,300달러(약 1억 5,977만 원) 사이에서 박스권을 형성하며 기반을 다졌다. 이후 '조작’ 단계에서는 급락이 발생하며 11만 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까지 내려왔는데, 이는 고점에서 추격 매수한 개미 투자자들을 '털어내는' 전형적인 매집 과정으로 해석된다.

주목할 부분은 현재 시장이 ‘분배’ 단계 진입을 타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트코인이 11만 5,300달러와 11만 6,800달러(약 1억 6,215만 원) 수준을 고점·저점을 가리지 않고 견고하게 회복한다면, 다음 저항선인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 돌파를 시도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기술적 목표선인 12만 6,000달러(약 1억 7,554만 원)도 무난히 도달 가능한 수준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번 급락에서 청산된 레버리지 포지션 금액은 총 9억 2,200만 달러(약 1조 2,815억 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대규모 포지션 리셋이 발생하면 시장의 과열도가 낮아지면서 오히려 반등 여력이 커지는 게 일반적이다.

비트코인이 당면한 핵심 수준은 11만 5,300달러와 11만 6,800달러다. 이 구간을 명확히 상회하지 못하면 지난 조정이 단기적 반등에 그칠 수 있으며, 반대로 돌파에 성공한다면 시장 흐름은 기술적 구간인 12만 달러를 중심으로 가속화될 수 있다. 12만 달러는 강력한 가격 자석(magnet)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