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 한컷] 렌더, ROI 6.45배로 '오늘의 프로젝트'…세쿼이아·엔진스타터도 선정

| 강수빈 기자

렌더가 투자 수익률(ROI) 6.45배를 기록하며 '오늘의 프로젝트'로 이름을 올렸다. 세쿼이아 캐피털은 펀드 부문에서, 엔진스타터는 플랫폼 부문에서 각각 선정됐다.

체인브로커에 따르면 8월 11일 기준 글로벌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4조1400억 달러, 24시간 거래량은 1440억 달러를 기록 중이다. 비트코인은 12만1732달러, 이더리움은 432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디파이 총예치액(TVL)은 1520억 달러로, ▲이더리움(271억 달러) ▲트론(54억5000만 달러) ▲BNB 체인(46억7000만 달러) ▲아비트럼(24억2000만 달러) ▲옵티미즘(8억9800만 달러) 순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거래소의 24시간 거래량은 ▲바이낸스(222억8000만 달러) ▲게이트아이오(47억6000만 달러) ▲비트겟(45억5000만 달러) ▲바이비트(39억7800만 달러) ▲MEXC 글로벌(39억5000만 달러) ▲오케이엑스(34억6000만 달러) ▲업비트(32억7000만 달러) ▲비트마트(32억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오늘의 프로젝트 '렌더'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암호화폐 프로젝트 수는 총 3550개이며, 상승 중인 프로젝트는 657개, 하락 중인 프로젝트는 724개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투자 수익률(ROI) 6.45배를 기록한 '렌더(Render)'가 '오늘의 프로젝트'로 선정됐다.

사용자 관심 기준 상위 프로젝트는 ▲에테나(ENA, 1400만 달러) ▲아비트럼(ARB, 1억2400만 달러) ▲수이(SUI, 3억8600만 달러) ▲솔라나(SOL, 2560만 달러)로 나타났다.

일간 상승률 기준 상위 프로젝트는 ▲아발란체 디파이 에이지(Avalanche DeFi Age, +155.0%) ▲폴리헤드라 네트워크(Polyhedra Network, +78.5%) ▲카데나(Kadatta, +46.4%) ▲자라(Zara, +46.2%) ▲밤비(Bambi, +41.8%) 등이 뒤를 이었다.

32개 암호화폐 섹터 중 상승세를 보인 섹터는 19개, 하락세를 기록한 섹터는 13개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ROI 2.49배를 기록한 '스테이킹(Staking)' 섹터가 '오늘의 섹터'로 선정됐다.

오늘의 펀드 '세쿼이아 캐피털'

체인브로커에 등록된 크립토 펀드 수는 총 417개이며, 이 중 248개 펀드가 상승세, 167개는 하락세를 기록했다.

일간 상승률 기준 상위 펀드는 ▲Collab+Currency(+676.0%) ▲Continue Capital(+234.0%) ▲Paka Capital(+231.0%) ▲Big Brain Holdings(+215.0%) ▲D1 Ventures(+149.0%) 등이 뒤를 이었다.

사용자 관심 기준 상위 펀드는 ▲a16z(6.59배) ▲바이낸스랩스(4.03배) ▲코인베이스벤처스(3.22배) ▲판테라캐피털(2.28배) 순으로 나타났다.

이날 투자 수익률(ROI) 1.25배를 기록한 '세쿼이아 캐피털(Sequoia Capital)'이 '오늘의 펀드'로 선정됐다.

펀드 종목 중 ▲리그오브킹덤즈(League of Kingdoms, +20.8%) ▲피스테이크(pSTAKE, +13.7%) ▲레이어제로(LayerZero, +11.7%) ▲사타라AI(Satara AI, +7.02%) ▲칼데라(Caldera, +5.09%) 등이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세쿼이아 캐피털의 최근 투자 사례는 ▲RD 테크놀로지스(RD Technologies, 4000만 달러) ▲칼시(Kalshi, 1억8500만 달러) ▲그라디언트 네트워크(Gradient Network, 1000만 달러) ▲턴키(Turnkey, 3000만 달러) ▲도넛(Donut, 700만 달러)로 확인됐다.

오늘의 플랫폼 '엔진스타터'

현재 론치패드 플랫폼 수는 총 115개이며 이 중 57개가 상승세, 49개는 하락세를 보였다. 평균 ROI는 0.7배, 평균 최고 수익률(ATH ROI)은 22.1배, 평균 스테이킹 금액은 17.68달러로 집계됐다.

이달 ROI 기준 상위 플랫폼은 ▲코인리스트(13.5배) ▲바이낸스 월렛(13.1배) ▲OKX 월렛(9.04배) ▲바이낸스 런치패드(8.25배) ▲OKX 점프스타트(4.72배) ▲옥스불(Oxbull, 2.98배) 순이다.

시가총액 기준 상위 플랫폼은 ▲바이낸스 런치패드(115B) ▲바이낸스 월렛(115B) ▲OKX 점프스타트(2.828B)였으며 사용자 관심 기준 상위 플랫폼은 ▲바이비트(1.24배) ▲폴카스타터(0.622배) ▲바이낸스 런치패드(8.25배)로 나타났다.

'엔진스타터(Enjinstarter)'가 1.42배의 투자 수익률(ROI)을 기록하며 '오늘의 플랫폼'으로 선정됐다.

평균 투자 수익률(ROI)은 1.46배, 평균 최고 수익률(ATH ROI)은 11.3배이며, 총 모집 자금은 1630만 달러에 달한다. 스테이킹 락업 기간은 31일로 나타났다.

최근 해당 플랫폼에서 론칭된 프로젝트는 ▲G-에이전트 AI(G-Agents AI, 0.018배) ▲자야 AI(Zaya AI, 0.0856배) ▲슈퍼 밈(Super Meme, 0.0262배) ▲핑크 문 스튜디오(Pink Moon Studios, -) 등이다.

24시간 기준 상승 종목은 ▲버추아 프로토콜(Virtua Protocol, +4.14%) ▲하이퍼GPT(HyperGPT, +3.82%) ▲설더스(Salldus, +3.36%) ▲덱체크(DexCheck, +3.17%) ▲체인GPT(ChainGPT, +2.58%) ▲소피아버스(Sophiaverse, +1.75%) 순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