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은 하루 사이 미국 달러와 USDT를 중심으로 6억 달러 이상이 유입되며 비트코인(BTC)을 비롯한 주요 자산에 대규모 매수세가 집중됐다.
11일 기준 크립토미터에 따르면 최근 24시간 동안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서 가장 활발한 유입을 기록한 자금은 미국 달러(USD)로, 총 1억420만 달러가 시장에 흘러들어왔다.
USD 기반 자금은 대부분 ▲BTC(8200만 달러)로 향했으며, ▲ETH(1210만 달러) ▲RLUSD(220만 달러) ▲ZORA(190만 달러) ▲BCH(220만 달러) ▲NEAR(290만 달러) ▲UNI(91만 달러) 등으로도 고르게 분배됐다.
원화(KRW) 기반 유입액은 4220만 달러로, 역시 ▲BTC(3680만 달러)에 집중됐고 ▲MNT(290만 달러) ▲ETH(260만 달러)로도 자금이 흘러갔다.
유로(EUR) 기반 유입액은 2660만 달러로, ▲BTC(1020만 달러) ▲USDT(840만 달러) ▲XRP(560만 달러) ▲SOL(120만 달러) ▲ADA(120만 달러)로 퍼져나갔다. 영국 파운드(320만 달러), 브라질 헤알(140만 달러), 캐나다 달러(92만 달러)는 전액 BTC로 유입됐다.
스테이블코인 USDT에서는 총 5억7320만 달러가 이동했으며, ▲BTC(2억8560만 달러) ▲USDC(1억4120만 달러) ▲XRP(4110만 달러) ▲FDUSD(3500만 달러) 순으로 대규모 자금이 몰렸다. 이외에도 ▲BNB(1060만 달러) ▲ENA(1240만 달러) ▲LDO(940만 달러) 등 다양한 알트코인으로 분산되며 전반적인 시장 유동성을 확장시켰다.
USDC로 유입된 1억4120만 달러는 ▲BTC(4500만 달러) ▲XRP(1000만 달러)를 비롯해 BNB, LTC, ENA 등으로도 흘러갔다. FDUSD(5680만 달러)로 들어온 자금은 ▲BTC(4980만 달러)와 ▲XRP(800만 달러)로 재배치됐다.
이날 자산별 유입 규모를 살펴보면 BTC가 5억1660만 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XRP(6510만 달러) ▲ETH(1680만 달러) ▲ENA(1600만 달러) ▲BNB(1220만 달러) ▲RLUSD(1050만 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LDO(940만 달러) ▲IP(370만 달러) ▲MNT(290만 달러) ▲NEAR(290만 달러) ▲ZORA(290만 달러) ▲LTC(270만 달러) ▲ZRO(250만 달러) ▲RROVE(180만 달러) ▲ADA(120만 달러) ▲SOL(120만 달러) 등 다양한 알트코인으로의 자금 유입도 확인됐다.
암호화폐 시장 자금 유출 흐름 / 크립토미터이날 최대 매도 출처는 G7이었다. 총 5210만 달러가 USDT로 변환되며 대규모 매도 압력이 드러났다.
SOL에서는 총 7850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이 자금은 ▲USDT(3870만 달러) ▲FDUSD(2440만 달러) ▲달러(1280만 달러) ▲USDC(260만 달러) 등으로 나뉘어 흘러갔다.
XRP에서는 2620만 달러 규모의 매도세가 발생했으며 ▲원화(2330만 달러) ▲달러(290만 달러)로 전환됐다.
SUI에서는 총 1770만 달러가 빠져나가 ▲USDT(1,250만 달러) ▲USDC(520만 달러)로 이동했다.
DOGE에서도 2040만 달러가 유출되며 ▲USDT(1,220만 달러) ▲달러(560만 달러) ▲원화(260만 달러)로 분산됐다.
이외에도 XMR, SOON, MNT, TRUMP, RLUSD, PEPE, ADA 등에서 산발적인 매도 흐름이 나타났다.
중간 자산 USDT에 2억7160만 달러가 몰렸으며 이 중 일부가 ▲원화(2580만 달러) ▲달러(1140만 달러) ▲헤알(380만 달러)로 전환됐다.
USDC에는 1980만 달러가 유입되어 일부가 ▲유로(1080만 달러)로 변환됐다. FDUSD에는 6090만 달러가 유입됐다.
ETH에서는 7950만 달러가 빠져나가 ▲USDT(3730만 달러) ▲FDUSD(3650만 달러)로 이동했다. WBTC에서 BTC로 변환된 1770만 달러 가운데 일부는 엔화(650만 달러)로 옮겨졌다.
결과적으로 법정화폐로 전환된 순유출 자금은 ▲원화(6690만 달러) ▲달러(3630만 달러) ▲유로(2630만 달러) ▲엔화(650만 달러) ▲헤알(380만 달러)로 집계됐다.
특히 원화는 USDT, DOGE, XRP 등 다양한 자산의 최종 유출 경로로 나타나며 폭넓은 환전 움직임을 보여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