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한 선물은 투자 심리에 따라 현물과 가격 차이가 생긴다. 선물 시장은 펀딩비(Funding Rate)를 통해 이러한 가격차를 조정한다. 선물 가격이 높으면 롱이 숏에게, 낮으면 숏이 롱에게 펀딩비를 지급해 현물과 선물 가격 균형을 맞춘다. 이 구조를 활용, 현물을 매수하고 선물에서 숏을 잡아 자산의 가격 변동을 헤징한 상태에서 펀딩비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 전략이 있다.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 높은 펀딩비로 수익 기회를 나타내는 상위 종목들을 정리했다. [편집자주]
8월 13일 12시 10분 기준, 데이터맥시플러스에 따르면, 1만 달러 기준 가장 큰 펀딩비 수익을 기록한 종목은 Hive AI(BUZZ)(게이트아이오)로 나타났다. 게이트아이오에서 선물 롱 포지션을 보유하고 동일 거래소에서 현물 매도 포지션을 취하는 전략으로, 펀딩비율은 -0.02%이며 연환산 수익률은 약 43.8%에 이른다. 연간 예상 수익은 약 21만 8,761달러에 달한다.
SKALE(SKL)도 다양한 거래소 조합 간 차익거래 기회로 주목받고 있다. 대표적인 전략으로는 ▲바이빗 선물 롱과 바이낸스 현물 숏 조합이 있으며, 이 조합의 연환산 수익률은 9.17%로 연간 약 4만 5,777달러 수익이 예상된다. 유사한 수익률은 게이트아이오, 비트겟, HTX(후오비) 등 현물 거래소와의 조합에서도 확인된다.
특히 바이빗과 HTX 사이에서는 선물이 현물보다 낮은 가격(-0.42%)에 거래되며, 펀딩비 차익 면에서 더욱 매력적인 구조다. SKALE을 활용한 비트겟 선물 롱 전략은 비트겟 자체 또는 다양한 현물 거래소(게이트아이오, HTX, 바이낸스 등)와 결합 시 연환산 수익률이 약 6.73%로, 연간 약 3만 3,584달러의 수익이 가능하다. 또한 게이트아이오 선물 롱과 바이낸스 현물 숏 조합도 연환산 수익률 5.46%로, 약 2만 7,267달러의 수익 잠재력을 보인다.
최고·최저 펀딩비 / 데이터맥시플러스
이 시각 최고·최저 펀딩비 종목
🔼 최고 펀딩비 상위 5종목
▲게이트아이오의 MemeCore(M): 연환산 5.63%, 1시간 간격 펀딩비 0.000643
▲바이낸스의 SkyAI(SKYAI): 연환산 4.05%, 펀딩비 0.001849
▲MEXC의 SkyAI(SKYAI): 연환산 4.04%, 펀딩비 0.001846
▲HTX의 ArbDoge AI(AIDOGE): 연환산 3.71%, 펀딩비 0.003391
▲비트겟의 Biswap(BSW): 연환산 3.26%, 펀딩비 0.001489
🔽 최저 펀딩비 하위 5종목
▲게이트아이오의 MemeCore(M): 과거 최저 펀딩비 -0.020696
펀딩비율이 높은 종목은 주로 롱 포지션에 강한 수요가 몰린 자산들로, 양방향 포지션 전략을 활용한 펀딩 차익 거래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 특히 MemeCore는 펀딩비의 상·하단 변동폭이 커, 전략 구성 시 스프레드와 변동성 리스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펀딩비가 높거나 양수일 경우, 롱 포지션 수요가 높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상대적으로 비싼 상황으로, 롱 포지션이 숏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해야 한다. 투자자는 현물 매수와 선물 숏(공매도) 전략을 구사해 펀딩비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반대로, 펀딩비가 낮거나 음수일 경우, 숏 포지션 수요가 많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낮아 숏 포지션이 롱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해야 한다. 투자자들은 현물 매도와 선물 롱 전략을 활용해 펀딩비 차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펀딩비 차익거래는 시장 변동성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노릴 수 있는 전략으로, 장기적인 시장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펀딩비는 시장 참여자의 포지션 비율에 따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거래소별 펀딩비 차이와 자금 비용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 기사는 금융 자문을 제공하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