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I 경고... 암호화폐 피해자 노린 '가짜 로펌 사기' 극성

| 서지우 기자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암호화폐 사기의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한 가짜 법률 자문 사기에 주의할 것을 경고했다. FBI는 사기 피해자들이 자산을 회수하려는 심리를 노려, 허위 법률사무소들이 다시 피해자를 노리고 있다고 밝혔다.

FBI는 10일 공식 성명을 통해, ‘암호화폐 회수 전문 로펌’을 자처하며 접근해 오는 법률기관에 주의하라고 촉구했다. 특히 이들 가짜 로펌은 암호화폐나 사전 결제 기프트카드로 수임료를 요구하며, 피해자의 개인정보와 잔여 자산까지 탈취하는 2차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경고는 작년 8월과 올해 6월 전달됐던 유사한 범죄 유형에 대한 FBI의 후속 조치로, 수사기관이나 공공기관에 사건을 신고하지 않은 상황에서 예상치 못하게 접근하는 ‘로펌’을 특히 주의하라는 메시지도 포함됐다.

FBI의 우려는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블록체인 보안 전문기업 서틱(CertiK)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동안 해킹, 익스플로잇, 사기 등으로 암호화폐 약 25억 달러(약 3조 4,750억 원)가 사라졌다. 일부 사례에서는 거래소나 기업이 자금을 회수해주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개인이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

환수된 암호화폐의 처리 방식도 주목된다. 미국 재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는 정부가 압수한 디지털 자산은 피해자 보상 이후 국가 보유 암호화폐 또는 비트코인(BTC) 비축분으로 편입된다고 밝혔다. 실제로 FBI는 지난 4월, 해킹 그룹 일원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되는 비트코인 240만 달러(약 33억 3,600만 원) 상당을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압수했다. 해당 자산에 대한 정부의 소유권을 확보하기 위해 지난 7월 연방 당국은 소송도 제기한 상황이다.

암호화폐 사기로 날로 교묘해지는 범죄 수법에 대응하기 위해, 피해자들의 주의와 정보 공유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이다. FBI는 "누가 도와준다고 나설 때일수록, 더욱 신중하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