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프링크, LS-ETH 장부 평가손실로 1조 4천억 원 순손실…역대급 적자

| 민태윤 기자

미국 온라인 게임 업체 샤프링크 게이밍(SharpLink Gaming)이 2025년 2분기 순손실 1억 300만 달러(약 1조 4,327억 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50만 달러(약 6억 9,500만 원) 손실과 비교하면 무려 25,980% 급증한 손실폭이다. 회사 측은 이번 분기 손실의 대부분이 리퀴드 스테이킹 이더(LS-ETH)의 회계 평가손실에 따른 장부상의 손실이라고 설명했다.

15일 발표된 공식 자료에 따르면, 샤프링크는 현재 이더리움(ETH) 72만 8,804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현 시세 기준 약 35억 달러(약 4조 8,650억 원) 규모다. 이더리움 보유량 기준으로 상장사 중 샤프링크보다 많은 곳은 비트마인 이머전 테크놀로지스(BitMine Immersion Technologies) 하나뿐이다. 비트마인은 115만 개 이상의 이더리움을 보유 중이며, 평가 가치는 약 51억 달러(약 7조 890억 원)에 달한다.

샤프링크가 기록한 분기 손실 중 약 87.8%인 8,780만 달러(약 1조 2,204억 원)는 LS-ETH와 관련된 회계상 감액 손실로 파악된다. 이에 대해 한 회사 관계자는 "이번 감소는 실제 자산 매각이나 손실이 아니라 미국 회계 기준(GAAP)에 따른 장부상 손실"이라고 강조했다. 관계자는 이어 “Q2 동안 LS-ETH의 최저 시세가 2,300달러(약 320만 원)까지 하락하면서 비현금성 감손처리가 발생했다”고 덧붙였다.

미국 GAAP 회계 기준에서는 LS-ETH를 무형 디지털 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어 취득원가 기준으로 장부에 반영되며, 시세가 하락할 경우 감손 처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반면, 가격 상승 시 평가이익은 인식할 수 없어, 암호화폐 기업들에겐 불리한 제도로 거론된다.

이번 분기 샤프링크의 매출은 70만 달러(약 9억 7,300만 원)에 불과했다. 실적 발표 직후 회사 주가는 나스닥에서 12.58% 하락했다. 시장에선 해당 손실과 낮은 매출이 복합적으로 투자자 신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LS-ETH 회계처리를 둘러싼 이슈는 암호화폐 기업 회계기준의 현실성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실제 자산의 손실이 아님에도 대규모 장부상 손실로 기업 가치가 훼손되는 상황은, 향후 제도 개편과 규제 논의 과정에서도 주요 화두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