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원화 기반의 스테이블 코인 개발 필요성을 언급하며, 이를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해외 수요와 연계해 구상하고 있어 향후 정책 및 기술적 대응이 주목된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25년 8월 1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원화 스테이블 코인의 수요가 동남아 지역에 있을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특히 베트남 등지에서 한국 돈을 받는 거래 수요가 존재한다고 지적하며, 디지털 자산 기반 결제 수단으로서 원화 스테이블 코인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스테이블 코인은 법정화폐나 자산에 연동돼 가치 변동성을 최소화한 암호자산을 말한다. 구 부총리는 이러한 기술이 블록체인 시스템 위에 구축될 수 있으며, 어떤 화폐를 기준통화로 얹느냐에 따라 달러 또는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를 “제대로 된 스테이블 기반을 만드는 것”이라 표현하며, 기술적 준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다만 이러한 디지털 화폐의 도입 과정에서는 외환 관리, 통화 정책, 금융 안전성 등 다양한 제도적 과제가 수반된다. 구 부총리는 스테이블 코인이 기본적으로 기존 금융 질서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추진에 앞서 관련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기술 연구와 제도 정비를 병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실제 정부는 법적 기반 마련도 추진 중이다. 구 부총리는 외환거래법 개정과 관련해, 국경 간 가상자산 이동을 감시하고 통제하기 위한 법적·행정적 장치를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국세청, 관세청, 금융정보분석원(FIU) 등 기관 간의 정보 공유 체계를 통해 불법 거래를 방지하고, 디지털 자산 유통을 제도권 내에서 관리할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국내 금융 정책이 국제적 트렌드인 디지털 화폐 경쟁에 본격적으로 대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국내에서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이 본격 도입된다면, 해외 송금과 결제 수단의 대안으로 활용되며, 특히 한류 문화와 한국 기업이 진출한 지역에서 경제적 파급 효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