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도의 무역 전쟁이 비트코인(BTC) 채굴 산업에 거센 후폭풍을 낳고 있다. 특히 미 관세국경보호청(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이하 CBP)과의 갈등이 본격화하면서 미국 내 주요 채굴 기업들이 거액의 법적 책임에 노출되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이에 대한 주요 분석은 암호화폐 연구 매체 더마이너매그(The Miner Mag)의 최신 보고서에서 제시됐다. 보고서는 미국과 중국 간 지속되는 무역 긴장 속에서 채굴 기업들이 어떻게 복잡한 관세 체제를 헤쳐 나가고 있는지를 집중 조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백악관은 최근 중국과의 협상을 반영해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관세율을 조정했다. 그 결과, 중국산 채굴 장비에는 57.6%,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산 장비에는 21.6%의 관세가 각각 적용되고 있다. 이처럼 급격히 오른 관세율로 인해 미국 채굴 업계는 수입 비용 상승과 함께 법적 위험 부담까지 떠안게 됐다.
더마이너매그는 특히 두 개의 미국 상장 채굴 기업인 아이렌(IREN)과 클린스파크(CleanSpark)가 최근 CBP로부터 장비의 원산지 관련 의혹으로 청구서를 발송받은 사실을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클린스파크는 중국산 장비 수입과 관련해 최대 1억 8,500만 달러(약 2,572억 원)의 부채 가능성을 경고했으며, 아이렌은 별도로 1억 달러(약 1,390억 원)에 달하는 분쟁을 놓고 CBP와 이의를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더불어 보고서는 현재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채굴 수익성 저하에도 주목했다. 해시프라이스는 초당 페타해시(TH/s) 기준으로 60달러(약 8만 3,400원)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트랜잭션 수수료 역시 전체 블록 보상의 1% 이하로 내려앉은 상태다.
이번 사태는 트럼프 대통령 체제 아래 강화된 보호무역 기조가 암호화폐 채굴 비즈니스에도 예외 없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관세 비율 상향 조정과 원산지 규제는 장비 수입과 운영에 심각한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미국 채굴 산업이 자국 내 생산 확대나 대체 공급망 확보 등 구조적인 패러다임 전환을 꾀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