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 대신 AI에 묻는다…암호화폐 트레이딩, '대화형 분석' 시대 개막

| 김민준 기자

암호화폐 거래 세계에서 과거에는 캔들차트, 피보나치 라인, 볼린저 밴드 등 복잡한 지표 분석이 필수였다. 하지만 최근 거래 전략의 패러다임이 서서히 바뀌고 있다. 이제 많은 개인 투자자와 준전문가들이 차트 대신 인공지능(AI) 모델을 우선 활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단지 시세 흐름을 해석하는 것을 넘어, 실제 의사결정의 출발점으로 ChatGPT나 Grok과 같은 대화형 AI를 사용하는 추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무엇이 이런 변화를 이끄는 걸까. 암호화폐 차트는 데이터 밀도가 높은 만큼, 초보자에게는 혼란과 감정적 부담을 동시에 안긴다. 중첩된 지표, 상반된 신호, 분석 스트레스는 차트 피로감을 유발한다. 특히 신규 투자자 입장에선 거래를 위한 진입장벽이 높아지는 셈이다. 이 틈을 파고든 것이 자연어 기반 AI 모델이다.

과거처럼 상대강도지수(RSI) 해석이나 캔들차트의 그림자를 일일이 분석하는 대신, 사용자는 단순히 “지금 솔라나(SOL)를 매수해도 될까요?”라는 질문을 던진다. 그러면 ChatGPT는 시장 컨텍스트, 투자 심리, 거시 흐름을 바탕으로 대답을 제공한다. 이처럼 AI는 차트를 통한 기술적 분석의 부담을 상당 부분 덜어내며, 투자 결정을 더 직관적으로 만든다.

예를 들어, 한 사용자가 “X(구 트위터)에서 리플(XRP)의 투자 심리를 요약해줘”라고 묻는다면, Grok은 “긍정적이되 조심스러운 낙관론이 지배적”이라는 응답과 함께, 규제 이슈 해결에 대한 기대감과 아직 남아 있는 중앙화 논란을 균형 있게 설명한다. 이 과정은 단지 정보 수집이 아니라, 시장 내 감정과 내러티브를 정리해주는 통찰 도구로 변화하고 있다.

물론 차트가 완전히 사라지는 건 아니다. 여전히 가격 진입 시점이나 저항선 확인 등에서 유용한 도구다. 그러나 주요 결정에서 차트를 보는 순서가 밀리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디지털 세대의 투자자들은 AI 모델을 통해 시장을 대화형으로 탐색하며, 그 안에서 자신만의 해석과 전략을 구축하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접근 방식 자체가, 이제 더 인간적인 대화로 옮겨가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