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억5508만원·이더리움 640만원·리플 4100원대…시세 반등세 지속

| 토큰포스트

8월 27일 오후 기준으로 암호화폐 시장은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단기 반등 흐름을 보이며 대체로 긍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여전히 시장의 중심 자산으로 기능하고 있지만, 최근 이더리움의 강세가 더 두드러지며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비트코인은 견조한 흐름, 이더리움은 상승 주도, 리플은 분산된 흐름을 보이며 각기 다른 가격 추세를 형성하고 있다.

비트코인의 현재 가격은 11만1070.72달러(약 1억5508만원)로 24시간 기준 0.99% 상승했다. 일주일 기준으로는 -2.29% 하락했으며, 한 달간 7% 하락하는 등 전반적으로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고점 부담 속에서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60일(3.35%)과 90일(2.96%) 변동률은 플러스를 유지하고 있어 중기적 시각에서는 점진적인 회복세가 포착된다. 비트코인의 시장 점유율은 57.27%로 시가총액 기준으로 여전히 암호화폐 시세 전반을 주도하고 있다. 상승 탄력이 약한 가운데 시장 전반에 신중한 분위기가 혼재돼 있는 모습이다.

반면 이더리움은 상대적으로 강한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더리움의 현재 가격은 4590.56달러(약 640만9581원)로, 24시간 동안 4.03% 상승하며 최근 상승 랠리를 지속하고 있다. 7일 상승률은 9.35%, 30일 기준으로도 17.38% 오르면서 중장기 상승세가 뚜렷이 확인된다. 특히 60일 및 90일 기준 상승률이 각각 89.09%, 68.54%에 달해, 두 달여 사이 거의 두 배 가까이 가격이 급등한 셈이다. 시장 점유율 역시 14.35%까지 확대되며, 이더리움의 기술적 상승이 알트코인 시장 전체에도 긍정적인 흐름을 유도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리플의 경우, 다소 제한된 흐름 속에서도 일부 기술적 반등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가격은 3달러(약 4189원)이며, 24시간 기준 3.11% 상승했다. 7일간은 3.91% 상승 중이지만, 30일 기준으로는 8.81% 하락해 단기 흐름과 중기 흐름 사이에서 혼조세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60일(36.73%)과 90일(31.32%) 변동률은 양호한 편으로, 이더리움 상승의 후속 효과를 일부 받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시장 점유율은 4.62%로 중간 수준을 유지하며 기술적 반응 속에서도 복원력의 진폭은 이더리움에 비해 제한적인 모습이다.

바이비트 제공 포지션 수익 분포에 따르면, 현재 수익 구간에 있는 포지션 수는 총 414건으로 손실 구간(100건)을 크게 웃돌고 있다. 변화가 없는(noChange) 포지션은 9건으로 소수에 불과하다. 이 같은 데이터는 단기적으로 시장에 낙관적 심리가 퍼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이더리움의 최근 급등세가 파생상품 시장 내 매수 포지션 수익 실현으로 이어지며 전체적인 수익 구간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관찰된다.

이 같은 포지션 분포는 파생상품 투자자들이 상승 모멘텀 중심의 전략을 선호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더리움의 강세가 두드러지는 만큼, 해당 종목을 중심으로 ‘상방 포지션’이 확대된 것으로 추정되며, 최근 반등이 이러한 포지션의 수익 실현 가능성을 높이게 된 것이다. 리플 또한 상승 흐름을 타고 있지만, 아직 포지션 수익 구간에 주도적으로 기여하고 있다고 보기엔 부족한 측면이 있으며, 비트코인 역시 뚜렷한 방향성을 모색하지 못하는 가운데 수익 실현 보다는 보수적 접근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전체 포지션 중 약 78% 이상(414건 중 총 523건 중 수익 포지션)은 수익 구간에 속해 있어, 현재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기술적 반등에 대한 반응이 적극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향후 시장 심리에 영향을 주는 잠재적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거래량 확대와 변동성 강화로 이어질 여지가 있다. 암호화폐 시세 흐름과 파생상품 시장의 이런 동향은...

이런 가운데, 이더리움은 최근 블랙록(BlackRock)의 약 2억 3,300만 달러 규모 매수 소식과 함께 강한 정서를 형성하고 있다. 가격은 한때 $4,500선을 하회했지만 곧 반등에 성공하여 $4,596 수준을 회복했다. 특히 블랙록을 비롯한 기관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유입이 장기적 강세 기대감을 자극하고 있다. 일부 분석가들은 이더리움이 단기적으로는 $4,865, 장기적으로는 $7,500에서 최대 $15,650 수준까지 확장될 수 있다고 전망하며, 이는 뚜렷한 기술적 패턴과 매수세 누적을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 다만 블랙록의 거래 패턴이 장기 보유보다는 단기 전략적 접근임을 감안하면 단기 내 수급 변동성은 여전히 유효한 변수로 남아 있다.

전반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은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점진적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분위기는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와 같은 거시경제적 환경에도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디파이(DeFi) 섹터는 AAVE 등 주요 토큰의 강세와 함께 투자 심리가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기술적 저항 구간이 곳곳에 포진해 있는 만큼 무리한 추격 매수보다는 분할 진입 전략과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는 분석도 병존한다. 이더리움의 경우, $4,800 부근 저항 돌파 여부가 향후 추가 랠리 지속 여부를 결정지을 핵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시장이 예상보다 높은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도 상존하는 만큼, 포지션 규모 조절과 명확한 손절 기준 설정을 병행하는 것이 유효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