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ETF 유입 19조 돌파…“올해 1억 6,000만 원 도달 가능성”

| 민태윤 기자

이더리움(ETH) 가격이 최근 사상 최고치인 4,950달러(약 6,886만 원)를 돌파한 뒤 4,300달러(약 5,977만 원) 수준으로 하락했지만, 기관 수요와 네트워크 활동 등을 감안하면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미국에서 출시된 현물 ETF에 대한 높은 관심이 가격을 지지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평가다.

미국 현물 이더리움 ETF들은 2024년 7월부터 거래를 시작한 이후 눈에 띄는 자금 유입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8월 11일 단 하루에만 10억 2,000만 달러(약 1조 4,178억 원)가 유입되며 역대 최대 하루 유입 기록을 세웠고, 누적 순유입 규모는 137억 달러(약 19조 403억 원)를 넘어섰다. 기관 투자자들이 ETH 관련 ETF 상품으로 자금을 확장하며 장기 상승장을 견인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ETF 유입세는 최근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영국 소재 Farside Investors에 따르면, 최근 목요일 기준으로도 하루 순유입액은 3,910만 달러(약 543억 원)를 기록했고, 6거래일 연속 순유입이 이어졌다. 이는 단기적인 가격 조정 국면에서도 기관의 관심이 식지 않았음을 방증한다.

ETF 수요 외에도, 최근 기업 재무처에서의 ETH 채택 증가도 주목된다. 일부 대형 기업들은 이더리움을 준비금 용도로 보유하거나, 탈중앙화금융(DeFi) 생태계 참여 수단으로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ETH의 실질 수요 기반이 넓어지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2021년 비트코인(BTC)을 국고 자산으로 삼았던 마이크로스트래터지의 행보가 이더리움 버전으로 확대되는 양상이다.

기술적 분석 측면에서도 상승 가능성은 여전하다. ETH는 4월 이후 비트코인 대비 195% 이상 상승하며 ‘알트코인 시즌’ 도래를 예고했다는 평가다. 여러 지표상으로 이번 사이클에서 ETH 가격이 12,000달러(약 1억 6,680만 원)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강세 시나리오도 제기되고 있다.

비록 단기적으로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가격 하락이 있었지만, 기관 기반 유입과 실사용 확장을 중심으로 한 구조적 강세 흐름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에서, 향후 몇 개월은 이더리움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