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시장이 단기 피로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핵심 분석 지표인 MVRV에서 데드크로스(Dead Cross)가 발생해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는 현 시점에서 시장의 구조적 강세에도 불구하고 조정 가능성이 상존함을 시사한다.
MVRV는 비트코인의 시가총액과 모든 코인의 평균 매입가를 비교해 자산의 고평가 또는 저평가를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최근 30일 이동평균선이 365일 평균선을 하향 돌파하면서 데드크로스가 나타났으며, 이는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로 해석된다. 온체인 데이터 플랫폼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이와 유사한 현상이 2021년 말에도 관측됐다고 전했다. 당시 비트코인은 6만 4,900달러(약 9,021만 원)에서 6만 9,000달러(약 9,591만 원)까지 6.3% 반등했지만, MVRV는 오히려 하락하며 자금 유입이 둔화된 정황을 보여줬다.
이번에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비트코인은 최근 8월에 10만 9,400달러(약 1억 5,196만 원)에서 12만 4,000달러(약 1억 7,236만 원)로 13.3%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MVRV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는 상승 동력이 실질 자금 유입보다는 ETF 같은 제도권 수용 확대에 따른 심리적 요인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MVRV의 하락이 반드시 고점을 의미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실제 자금 유입 없이 가치가 지나치게 부풀려진 상태라면 가격 조정이나 횡보 장세에 돌입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ETF 도입 등 구조적 측면에서의 강점이 존재하더라도 단기적인 과열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한편, 분석 플랫폼 스위스블록(Swissblock)은 비트코인의 네트워크 성장과 시장 유동성이 함께 상승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를 전했다. 이들은 이 같은 패턴이 2023년 이후 지속적으로 강한 반등을 이끌어낸 배경이었다며, 현재도 이런 구조가 강화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적극적인 온체인 참여와 더불어 시장 내 자금 흐름이 회복세를 보이는 만큼, 중장기적 관점에서는 여전히 상승 가능성도 유효하다는 해석이 힘을 얻고 있다.
결국 현재의 MVRV 데드크로스는 단기 진입 시점에 대한 경고로 받아들여야 하며, 비트코인의 펀더멘털에는 여전히 강력한 구조적 지지 기반이 구축돼 있다는 점도 간과해선 안 된다. 투자자들은 과거 사례와 결합된 온체인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며, 과열 구간과 건강한 눌림목 구간을 구별하는 신중한 대응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