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사이버 공격 기술이 점점 정교해지고 있는 가운데, 체코 정부는 이를 국제적 위협으로 규정하고 경계 수준을 한층 끌어올리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해킹 시도가 확대되면서 사이버 안보를 둘러싼 국제적 협력이 시급하다는 경고가 나왔다.
루카스 킨트르 체코 국가사이버보안청장은 현지시간 9월 2일 연합뉴스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북한의 사이버 위협 수준이 최근 몇 년 사이 급격하게 높아졌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이 금전적 목적의 랜섬웨어 공격과 암호화폐 탈취는 물론, 군사기술과 방위 산업 정보까지 노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공격은 체계적이고 무차별적인 성격을 띠고 있으며, 북한 정권의 핵·미사일 개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사이버 수법이 크게 확산되고 있다. 킨트르 청장은 AI가 해킹 공격에 ‘위력 증폭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과거 수작업 중심의 침투 기법이 자동화되면서, 저비용 대규모 공격이 가능해졌으며, 피싱 메시지 제작, 딥페이크 영상 제작, 합성 음성 등도 훨씬 정교해졌다. 나아가, AI와 머신러닝 기술을 이용해 악성 프로그램을 탐지 회피하도록 설계하거나, 네트워크 상에서 자동으로 보안 취약점을 찾아내는 사례까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북한은 단순한 해킹을 넘어, 기술 전문가를 위장 고용하거나 서구권 기업에 침투해 민감한 정보를 유출하는 방식도 취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킨트르 청장은 이 같은 사이버 활동이 체코뿐 아니라 세계 어디든 위협이 될 수 있고, 이에 대한 대응은 하나의 국가만으로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가 간 협력, 민간 기업과 정부 간의 정보 공유, 국제기구 간의 공조를 통해서만 실효성 있는 방어망을 구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킨트르 청장은 한국 국가정보원이 주최하는 ‘사이버 서밋 코리아’ 행사 참석을 앞두고, 한국과 체코 간의 사이버 협력 체계를 정례화하자는 뜻도 밝혔다. 그는 아시아와 유럽 차원에서 사이버 안보에 대한 지속 가능한 협력 체계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고도화되는 사이버 위협과 AI 기술의 결합은 앞으로 실제 전쟁 못지않은 정보전의 성격을 띨 가능성이 크다. 각국은 자국의 기술과 정보 인프라를 보호하기 위해 AI 역량 강화와 함께 국제적 규범 마련에 힘쓸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