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업계에 대한 해킹 위협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블록체인 보안업체 펙쉴드(PeckShield)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8월 한 달간 발생한 암호화폐 해킹 피해 규모는 총 1억 6,300만 달러(약 2,267억 원)로, 전월 대비 15% 증가했다. 이는 올해 누적된 손실액이 어느덧 40억 달러(약 5조 5,600억 원)를 넘어설 가능성을 시사하며, 개인 사용자부터 대형 거래소까지 전방위적인 보안 위협을 다시 부각시켰다.
가장 큰 피해 사례로는 9,100만 달러(약 1,265억 원) 규모의 비트코인(BTC) 탈취 사건이 지목됐다. 이는 오랜 기간 보유 중이던 지갑에서 사회 공학 기법을 통해 이뤄진 것으로, 기획적인 정밀 공격의 결과였다. 터키 최대의 거래소 비트크튀르크(BtcTurk)도 다시 해커의 타깃이 됐다. 이 거래소는 지난해 6월 5,400만 달러 해킹 피해 이후 또다시 5,000만 달러(약 695억 원) 이상의 피해를 입었다.
이 밖에도 밈코인 중심의 런치패드인 Odin.fun은 자동화 마켓메이커(AMM)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으로 700만 달러(약 97억 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도난당했다. 더욱이 블록체인 은행을 표방하던 디파이(DeFi) 플랫폼 BetterBank.io는 Zokyo의 보안 감사 직후에도 500만 달러(약 70억 원), 신규 대출 프로토콜 CrediX는 450만 달러(약 63억 원) 규모의 자산을 각기 탈취당함으로써, 보안 점검의 실효성에 의문을 남겼다.
펙쉴드에 따르면, 2025년 현재까지 발생한 해킹 중 무려 23%는 개인 지갑이 직접 겨냥된 사고였다. 이는 단지 플랫폼 문제만이 아닌 개인 사용자들의 취약한 보안 습관도 함께 개선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최근에는 실물 위협을 가하는 폭력적 공격, 이른바 '렌치어택(wrench attack)'도 비트코인 가격 상승기마다 동반 증가하는 추세다.
피해자는 미국, 독일, 러시아, 캐나다 등 암호화폐 이용률이 높은 국가에 집중되어 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개인정보 보호와 암호화 저장 방식 개선이 시급하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해킹 사고가 끊이지 않는 이유에 대해 "대부분의 보안 시스템이 후속 대처에는 강하지만, 선제 대응에는 미흡하다"며, 다층적 보안체계와 리스크 시뮬레이션의 일상화를 주문했다. 암호화폐 가격이 다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보안은 투자보다 우선돼야 할 과제임이 분명해지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