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네트워크의 거시적 반등 가능성을 알리는 강력한 지표들이 포착되고 있다. 바이낸스에서의 공급량 급감과 가격의 안정적인 유지, 더불어 고래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집이 맞물리며 상승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특히 최근 이더리움의 거래소 보유 비율인 ESR(Exchange Supply Ratio)은 단 2주 만에 0.041에서 0.037 이하로 급감했다. 이는 거래소 내 이더리움 유동성이 크게 줄었다는 뜻으로, 시장에서 매도 압력이 감소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크립토 분석 기업 크립토퀀트는 이 같은 흐름을 투자자들이 점차 거래소를 떠나 자체 보관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는 적극적인 신호로 해석했다. 이는 보유자들의 장기 투자 의지가 강화됐다는 것을 시사하며, 공급 측면에서 유통 가능한 매물 감소로 이어진다. 통상적으로 ESR 하락과 가격 안정이 병행될 경우 상승세로 이어지는 경향이 크다. 현재 ESR 수준은 6월 이전 수준으로 회귀했으며, 이는 단기 차익 실현세가 대부분 시장에서 정리됐음을 나타낸다.
여기에 파생 상품 시장의 안정 역시 긍정적 신호다. 과도한 레버리지가 일부 해소됐고, 영구 선물의 자금 조달 비율도 중립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과도한 투기 세력이 줄고 있다는 점에서 하락 압력보다 상승 지지가 큰 상태임을 보여준다. 또한 온체인 데이터 분석 결과, 대형 지갑 주소들의 최근 활동은 매우 억제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장기 보유자들이 당장 매도할 의사가 없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가장 주목할 변화 중 하나는 기관투자자들의 움직임이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룩온체인에 따르면 지난 이틀 간 21만 8,750 ETH(약 1조 3,069억 원)가 고래 및 기관 지갑으로 유입되었다. 토마스 리가 이끄는 비트마인(Bitmine)은 비트고(BitGo)와 갤럭시디지털로부터 69,603 ETH(약 4,153억 원)를 집중 매집했으며, 신규 생성된 5개 지갑은 팔콘X(FalconX)에서 102,455 ETH(약 6,296억 원)를 일괄 구매하며 이더리움 매집 열풍에 동참했다.
샌티먼트의 데이터는 1,000~10만 ETH를 보유한 고래 및 샤크 계정이 최근 5개월간 보유량을 무려 14%나 늘렸음을 보여준다. 이들의 매수는 이더리움이 1,400~1,800달러(약 194만~250만 원) 구간에 있을 때부터 시작됐는데, 이같은 일관된 투자 흐름은 이더리움의 기술적 반등을 뒷받침하는 주된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외에도 1만 ETH 이상을 보유한 메가 고래들의 지속적 매집은 다가오는 본격적인 상승장에서 이더리움이 중심축으로 부상할 가능성을 예고한다.
현재 가격이 4,400달러(약 6,116만 원) 선에 근접한 가운데, 이더리움은 4,500달러(약 6,255만 원) 탈환을 노리며 강한 지지 기반을 마련 중이다. 추세 전환의 갈림길에서 고래 및 기관 투자자들의 신뢰 회복은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더리움이 곧 새로운 상승 사이클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을 싣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