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KB금융, 스테이블코인 테더와 협력 논의…디지털 자산 본격 진출 신호탄

| 연합뉴스

국내 주요 금융사와 핀테크 기업들이 미국 달러에 고정된 대표적 스테이블코인인 USDT(테더) 발행 업체와 협력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다.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국내 금융권도 블록체인 기반 사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려는 움직임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9월 8일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은 서울 중구의 본사에서 테더의 마르코 달 라고 부사장, 퀸 르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괄, 안드레 킴 중남미 매니저 등과 회동을 가질 예정이다. 이번 만남은 스테이블코인 산업 전반에 대한 의견 교류와 향후 네트워킹 협력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해졌다.

신한금융의 행보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진 회장은 지난 8월 22일 경쟁사인 USDC(서클사 발행)의 고위 인사 히스 타버트 대표와도 스테이블코인 관련 논의를 진행한 바 있다. 그는 최근 창립 기념행사에서 “플랫폼 경제와 디지털 화폐의 급속한 확산은 은행의 기존 예금 기반을 흔들 수 있다”며 위험 요인으로 지목하기도 했다. 이는 디지털 자산 확산이 전통 금융 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신중히 보는 시각과 동시에 대응 전략 마련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행보는 신한그룹만의 움직임은 아니다. KB국민은행 역시 조영서 부행장을 중심으로 이번 주 중 테더 측 고위 인사들과 미팅을 예정하고 있다. 테더 방한단은 신한·KB금융 외에도 나이스그룹, 간편송금 서비스 토스를 비롯한 여러 국내 금융·핀테크 기업들과의 연쇄적인 만남을 추진하고 있다. 나이스그룹은 지주사 임원과 나이스정보통신 모바일 사업 담당 임원이 직접 테더 측과 회동할 계획이며, NH농협금융 실무진은 이미 9월 5일 퀸 르 아태 총괄과 사전 회의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테더는 전 세계 암호화폐 시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달러 연동형 스테이블코인을 운영하는 기업으로, 해당 코인은 개당 가치가 1달러로 유지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변동성이 큰 다른 암호화폐에 비해 안정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만큼 거래 안정성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각국의 규제 강화 움직임 속에서 투명성과 준비금에 대한 지속적인 의문도 병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한국 금융권이 본격적으로 디지털 자산 시장에 발을 딛는 신호탄으로 볼 수 있다. 금번 접촉이 단기적 제휴에서 그칠지, 장기적 플랫폼 구축으로 이어질지는 아직 불투명하지만,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 기반 기술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향후 각 금융사가 이러한 논의를 어떻게 구체화하고 사업화할지에 따라 국내 디지털 금융 생태계의 판도도 달라질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