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 트럼프 “기존 금융 불신… 비트코인은 금융 자유의 열쇠”

| 연합뉴스

에릭 트럼프가 한국의 가상자산 산업을 아시아에서 가장 앞선 국가로 평가하며, 트럼프 일가의 금융 관심이 디지털자산으로 옮겨진 배경을 직접 설명했다. 특히 과거 정치적 압력으로 인해 기존 금융 시스템에 회의감을 갖게 됐고, 이를 계기로 가상자산에 눈을 돌렸다고 밝혔다.

에릭 트럼프는 2025년 9월 9일 서울 강남구에서 열린 ‘업비트 디 콘퍼런스’ 화상 대담에서 한국이 아시아에서 디지털자산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성과를 내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미국이 현재 디지털자산 산업을 주도하고 있지만, 한국 역시 아시아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을 만큼 잠재력이 높다고 평가했다.

특히 그는 디지털자산 시장에 대한 직접적인 관심 배경으로 자신과 가족이 경험한 정치적 제약을 언급했다. 대통령 선거 패배 이후 세계 여러 은행이 정치적 이유로 트럼프 일가의 금융 거래를 제한하려 했고, 이로 인해 기존 금융 시스템의 문제점을 체감하게 됐다는 것이다. 이에 대체 수단으로 디지털자산을 탐색하게 됐고, 현재는 이를 ‘금융 자유를 실현할 자산’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에릭 트럼프는 디지털자산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도 내놨다. 그는 비트코인이 미래 세대의 대표적인 자산이 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수십억 명에게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 누리지 못했던 자유를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기존 은행 시스템은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 혁신 기업들에 밀려날 것이라는 비판도 덧붙였다. 특히 유럽은 전력 효율 문제 등을 이유로 디지털자산이나 인공지능 산업에서 미국에 크게 뒤처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두나무 오경석 대표도 가상자산 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오 대표는 한국의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가 외국과의 조건 차이로 인해 경쟁력이 제한된 상황이라며, 규제 개선을 통해 국내 시장이 글로벌로 확장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한국의 디지털자산 관련 규제 환경과 기술 기업 유치 전략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가상자산 산업이 금융의 대안으로 부각되는 가운데, 정치와 경제의 변곡점에서 디지털 자산이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