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초의 도지코인(DOGE) 상장지수펀드(ETF)가 이번 주 목요일 출시된다. 이를 두고 업계 안팎에서는 이번 상품이 밈코인에 대한 제도권 진입이라는 역사적 전환점이라는 평가와 함께, 단순한 투기 포장에 불과하다는 시각이 맞서고 있다.
이번 ETF는 기존 비트코인(BTC) 현물 ETF들과는 다른 경로를 통해 승인됐다. ‘렉스-오스프리 도지코인 ETF’(DOJE)는 1933년 제정된 증권법이 아닌, 1940년 ‘투자회사법’에 따라 등록됐다. 해당 법률은 주로 뮤추얼 펀드 및 다각화된 ETF에 적용되며, 단일 자산에 집중 투자하는 것을 제한하고 분산 구조를 요구한다.
이 때문에 블랙록($BLK)의 비트코인 ETF가 코인베이스 수탁을 통해 실제 비트코인을 보유하는 것과 달리, DOJE는 케이맨 제도 자회사를 통해 도지코인 파생상품에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구조를 택했다.
보통 암호화폐 관련 ETF는 상장 시 업계에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하지만 이번 ETF의 경우 우려 또한 적지 않다. 일부 전문가들은 “직접 도지코인을 매수하면 발생하지 않을 수수료를 투자자에게 부과하면서, 오히려 밈코인 투기를 제도화한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특히 도지코인이 원래 인터넷 농담으로 탄생한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실질적인 유틸리티가 뚜렷한 다른 프로젝트들이 ETF 승인을 받지 못한 채 밀려난 현실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높다.
이처럼 DOJE는 제도권 진입이라는 기념비적 의미와 함께, 밈코인 기반 ETF가 지닌 구조적 한계와 투자자 보호 문제에 대한 논쟁을 동시에 불러오고 있다. 도지코인의 ETF 등장이 향후 시장 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