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수입으로 비트코인($BTC) 대량 매입? 시장 구조 흔들 가능성

| 서지우 기자

미국이 자국 관세 수입으로 비트코인(BTC)을 매입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암호화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월스트리트 출신 금융 전문가 프레드 크루거(Fred Krueger)는, 미국 정부가 매달 관세 수입으로 약 69조 5,000억 원(500억 달러)을 창출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해 상당량의 비트코인을 시장에서 매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이 같은 매입 규모는 단순 계산상 약 40만 개의 비트코인에 해당하며, 이는 하루에 생산되는 신규 비트코인 물량 약 1만 9,000개와 비교해 시장 수급 구조를 완전히 흔들 수 있는 수준이다. 해당 발언은 미국 상무부 고위 관계자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의 언급과 함께 주목받고 있으며, 크루거는 이러한 정부 차원의 대규모 매입이 전통적인 공급-수요 법칙을 무력화시키고 ‘파워 로’(Power Law) 패턴에도 균열을 가져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실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미국 정부가 관세 수입 전액을 비트코인 구매에 투입할 가능성은 낮지만, 최근 연방정부가 압수된 디지털 자산을 기반으로 비트코인 비축 전략을 검토 중이라는 사실도 무시할 수 없다. 지난 3월에는 압류된 코인을 토대로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고를 조성했다는 내용이 공식 확인되기도 했다.

또한, 재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는 비트코인과 관련한 언급을 반복적으로 바꾸고 있다. 초반에는 비트코인 추가 매입 가능성을 시사했으나, 이후 이를 부인했다. 그러나 최근 X(구 트위터)를 통해 “예산 중립적인 방식으로 비트코인 추가 매입 경로를 모색할 수 있다”고 다시 발언해 정부 내 논의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음을 암시했다.

크루거의 구상은 현재까지는 가설이지만, 미국 정부의 디지털 자산 전략이 점차 구체화되고 있다는 정황은 분명하다. 만약 이런 대규모 자금이 실제로 비트코인 시장으로 유입된다면, 가격 상승을 넘어 암호화폐 생태계 전체에 구조적 전환을 가져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