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고래 투자자의 대규모 매집이 밈코인 페페(PEPE)의 상승장을 예고하는 신호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정작 네트워크 참여도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신중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최근 생성된 신규 지갑이 크라켄에서 약 1조 5,200억 개의 페페 토큰을 매수했다. 시세 기준으로는 약 1,600만 달러(약 222억 4,000만 원)에 달한다. 역사상 크라켄에서 이루어진 최대 규모의 PEPE 단일 거래로, 커뮤니티에서는 이를 상승장의 기폭제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거래내역을 공유한 일부 인플루언서는 해당 매수가 기관급 규모라고 분석하면서, 기술적으로도 상승 쐐기형(falling wedge) 패턴이 감지되고 있어 긍정적인 흐름으로 해석하고 있다. 최근 밈코인 전반에 대한 투자 열기가 다시 불붙는 가운데, PEPE와 리틀페페(Pepe Jr.) 등 일부 토큰의 프리세일 열풍이 시장의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뜨거운 관심과는 달리, 일부 데이터는 경고 신호를 보내고 있다. 스마트 머니의 이탈, 주요 인플루언서들의 매도 움직임, 사용자 활동 감소 등의 지표들은 이 매수가 진정한 상승장의 서막이 아니라 ‘펌프앤덤프(pump & dump)’의 전조일 가능성을 암시한다.
과거 밈코인 시장에서 반복돼온 전형적인 시나리오는 동일하다. 고래가 먼저 진입한 뒤, 늦게 따라붙은 개미 투자자들이 고점에 물려 손해를 입고 퇴장하는 패턴이다. 이번 PEPE 사례 역시 이러한 구조와 유사하게 구성돼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전문가들은 통상적으로 대규모 투자자는 지나치게 주목받는 움직임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번 거래가 순수한 매집이라기보다는 시장의 주의를 끌기 위한 전략일 수 있다고 본다. 과연 이 고래의 행동이 진정한 상승 신호일지, 혹은 또 하나의 불길한 전조일지는 좀 더 시간을 두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