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갱신 일지] PAXG 등 금 기반 토큰 강세...AVNT·FLOCK 국내 트렌딩 저점 대비 부상

| 손정환 기자

암호화폐 시장에서 금 기반 토큰의 강세와 함께 AVNT, FLOCK 등 국내 트렌딩 종목의 회복세가 확인되고 있다.

최고가(ATH) 갱신 종목

① 팍스골드(PAXG)
현재가 3698달러 | ATH 3698달러 (0%)

② 테더골드(XAUT)
현재가 3690달러 | ATH 3691달러 (–0.01%)

③ 컴텍골드(CGO)
현재가 118.42달러 | ATH 118.53달러 (–0.09%)

④ 도부(DOVU)
현재가 0.00847달러 | ATH 0.00939달러 (–9.80%)

⑤ 스타파워(STAR)
현재가 0.151달러 | ATH 0.168달러 (–10.2%)

이 외에도 ▲오버타임(OVER) ▲노이스(noice) ▲아라이(AA) ▲아보(AVO) ▲유닛펌프(UPUMP) ▲인베스코QQQ(QQQon) ▲핑퐁(PINGPONG)까지 총 12개 종목이 신고점을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 기반 토큰들이 상위권을 차지하며 강세 흐름을 주도했다.

최저가(ATL) 경신 종목

① 칠리(CHEEL)
현재가 2.23달러 | ATL 2.21달러 (+0.85%)

② 링고(LINGO)
현재가 0.0267달러 | ATL 0.0267달러 (+0.10%)

③ 톤카피(TCAPY)
현재가 0.000156달러 | ATL 0.000140달러 (+10.9%)

④ 블록(BLOCK)
현재가 0.0513달러 | ATL 0.0513달러 (+0.09%)

⑤ 아이셰어스20년물TLT(TLTon)
현재가 90.88달러 | ATL 90.67달러 (+0.23%)

이 외에도 ▲원창(USDWON) ▲카인드니스코인(KIND)까지 전체 7개 종목이 신저점을 경신했다. 최근 시장에서는 다양한 알트코인뿐 아니라 전통 금융 ETF 기반 토큰까지 신저점 흐름에 동참하며 단기 변동성이 두드러지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5개 종목

① 비트코인(BTC)
현재가 115730달러 | ATH 124224달러 (–6.84%)

② 이더리움(ETH)
현재가 4501달러 | ATH 4948달러 (–9.04%)

③ XRP
현재가 2.98달러 | ATH 3.84달러 (–22.4%)

④ 바이낸스코인(BNB)
현재가 928.41달러 | ATH 943.64달러 (–1.61%)

⑤ 솔라나(SOL)
현재가 235.18달러 | ATH 293.65달러 (–19.9%)

상위 5개 종목은 모두 최근 고점 대비 조정을 받고 있으나, BNB의 낙폭이 –1.61%로 가장 작아 상대적 강세를 보였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각각 –6.84%, –9.04% 하락하며 주요 지지선을 재확인 중이다. XRP와 솔라나는 각각 –22.4%, –19.9%의 낙폭을 가리키고 있다.

국내 트렌딩 종목

① 아반티스(AVNT) 현재가 1.14달러
ATH 1.51달러 (–24.3%) | ATL 0.186달러 (+513.8%)

② APX 파이낸스(APX) 현재가 0.0952달러
ATH 0.236달러 (–59.6%) | ATL 0.0202달러 (+371.7%)

③ FLock.io(FLOCK) 현재가 0.375달러
ATH 0.908달러 (–58.7%) | ATL 0.0354달러 (+959.3%)

④ 로디드 라이온즈(LION) 현재가 0.0175달러
ATH 0.0312달러 (–43.9%) | ATL 0.00220달러 (+696.8%)

⑤ 프래그메트릭(FRAG) 현재가 0.0402달러
ATH 0.168달러 (–76.1%) | ATL 0.0324달러 (+24%)

국내 트렌딩 상위권에 오른 5개 종목은 전반적으로 ATH 대비 크게 조정받은 상태다. 다만 ATL 기준으로는 대부분 수백 % 이상 반등해 단기 강세를 입증했다. 특히 FLock.io와 로디드 라이온즈는 900% 안팎의 회복세를 보이며 투자자 주목을 끌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은 하루 새 고점과 저점이 빠르게 바뀌는 고변동성 환경이다. 역대 최고가(ATH)와 역대 최저가(ATL) 경신 종목을 추적하면 강세와 약세 흐름을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크립토랭크 기준 시가총액 1000만 달러 이상 종목 중 하루 사이 고점 또는 저점을 경신한 주요 토큰을 정리하고 시가총액 상위 종목과 실시간 국내 인기 자산의 고점 대비 조정률을 함께 분석해 시장 회복 여력과 흐름을 진단한다. [편집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