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게임사 위메이드가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거래를 위한 전용 블록체인 메인넷을 내년 1분기에 정식 출시하기로 하면서, 디지털 자산 시장의 새로운 흐름이 예고되고 있다. 이 플랫폼은 기존 블록체인 기술의 한계를 개선하고, 실제 금융 서비스와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위메이드는 9월 18일 서울 중구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프로젝트 스테이블 원’ 행사를 열고, 자체 메인넷 ‘스테이블 원’의 공개 계획을 밝혔다. 이 플랫폼은 원화에 연동된 디지털 자산인 스테이블코인을 거래하는 데 특화된 구조로 설계됐다. 스테이블코인이란, 특정 법정화폐(원화 등)나 실물 자산의 가치를 1대1로 연동시켜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한 암호자산을 말한다.
‘스테이블 원’은 실시간 환전 기능과 초당 3천 건 이상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결제 처리 기능이 주요 특징이다. 다수의 결제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춘 만큼, 소매 결제나 금융 서비스 전반에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자금세탁 방지를 위한 자동 모니터링 기능이나 거래 투명성을 확보하는 시스템도 탑재돼 있어, 규제 당국의 우려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개방성과 호환성을 동시에 갖췄다. 이더리움과 100% 호환돼 이더리움 기반으로 개발된 다른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들도 손쉽게 ‘스테이블 원’으로 이전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이용자들은 별도의 가상자산이 아닌, 실제 사용하는 스테이블코인으로 거래 수수료를 낼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높다. 기업 사용자에게는 트랜잭션 우선 처리 혜택도 제공된다.
이날 행사에서 김석환 위믹스 대표는 블록체인 금융이 지금까지 겪은 불편함과 불안함을 극복하는 것이 핵심 과제라고 언급하며, 제도 개선을 위한 제언도 내놓았다. 그는 안정적인 자산 보관과 결제를 위한 스테이블코인 전용 은행과 디지털 자산 예탁 기관 설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다만 위메이드는 금융기관으로 전환할 계획은 없으며, 다양한 파트너들과 컨소시엄 형태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위메이드는 오는 10월 중 메인넷의 소스 코드를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11월에는 테스트넷을 운영하며 기술 안정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이후 내년 1분기 정식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움직임은 국내 스테이블코인 산업의 본격적인 제도권 진입 가능성과 함께, 블록체인 기술이 실물경제와 접목되는 하나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