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레버리지를 활용한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대규모 청산에 휘말리며, 하루 새 청산 규모가 무려 약 2조 5,020억 원(18억 달러)에 달했다. 올 들어 손꼽히는 시장 급락 중 하나는 단기 기술적 요인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지만, 투자 심리는 한동안 위축될 전망이다.
시장 데이터 플랫폼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최근 24시간 동안 무려 37만 명 이상의 투자자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이들 대부분이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에 롱(상승) 포지션을 잡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알트코인 전반도 예외 없이 급락세를 맞으며 시장 전반에 충격파를 안겼다.
이날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약 208조 5,000억 원(1,500억 달러) 이상 증발하며, 약 2주 만에 최저 수준인 약 5,486조 5,000억 원(3조 9,500억 달러)으로 하락했다. 코인베이스 기준 비트코인은 장중 한때 약 1억 5,568만 원(11만 2,000달러) 아래로 떨어졌고, 이더리움은 지난 8월 중순 이후 가장 큰 낙폭을 보이며 약 5,768만 원(4,150달러) 이하로 밀렸다.
한동안 주요 자산들은 바닥을 다지며 일시적 반등세를 보이고 있으나, 과거 9월 하락장을 돌이켜볼 때 추가 하락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특히 과도한 레버리지 포지션과 거래소 중심의 매매 집중은 시장의 변동성을 더욱 키우는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