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손절 매물 3만 개 쏟아져…반등 시그널일까, 하락 전조일까

| 손정환 기자

비트코인(BTC) 시장 전반에 다시 한 번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단기 보유자들이 일제히 투매에 나서면서 시장의 반등 신호인지, 아니면 추가 하락의 시작인지에 대한 논쟁이 치열하다. 특히 고래 투자자들까지 손실을 감수하며 매도에 나서면서, 시장은 중요한 분기점을 맞은 셈이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기업 크립토퀀트(CryptoQuant)에 따르면, 최근 비트코인 단기 보유자들(SHORT-TERM HOLDERS, STH)이 대거 거래소로 자산을 이동시키며 매도에 나서고 있다. 이동된 비트코인 규모는 3만 개가 넘으며, 이는 손실을 확정짓는 형태의 투매로 해석된다. 보통 대규모 거래소 입금은 매도 시도를, 반대로 인출은 보유 의지를 나타낸다. 이번 흐름은 대부분의 STH들이 매입가보다 낮은 가격에 자산을 매도하며 손실을 감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비트코인 가격이 STH 실현 가격(Realized Price) 부근에 머물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실현 가격이란 해당 그룹의 평균 매입 단가로, 현재 가격이 이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것은 대부분이 겨우 손익분기점에 도달했다는 의미다. 데이터 제공업체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에 따르면 기사 작성 시점 기준 비트코인은 약 8만 1,220달러(약 1억 1,288만 원)에 거래되고 있었으며, 약 34억 달러 규모(약 4조 7,260억 원) 이상의 자산이 손실 상태에서 매도된 것으로 분석됐다.

더불어 고래 투자자들도 불안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장기 보유 고래들은 약 1,890만 달러(약 262억 원)의 손실을, 신규 고래들은 최대 1억 8,460만 달러(약 2,567억 원)의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크립토퀀트는 이를 시장 참여자 전반의 위험 회피 전략으로 해석하며, 단기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신호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행보는 주요 온체인 지표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STH의 지출 이익 비율(SOPR)은 1 미만으로 급락했고, 시가총액 대비 실현가치 비율(MVRV)은 1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MVRV가 1이라는 것은 단기 보유자의 평균 수익률이 ‘0’에 수렴함을 의미하며, SOPR가 1 아래인 것은 많은 이들이 손해를 감수하고 매도 중이라는 뜻이다. 이는 최근 상승장에서 무리하게 매입한 이들이 공포에 휩싸여 발 빠르게 이탈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하락세가 이어질지 아니면 반등이 시작될지는 확언하기 어렵다. 복수의 시장 분석가들은 현재 가격이 STH 실현 가격 수준이라는 점에서 이 구간이 중장기적 지지선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본다. 만약 해당 수준이 지켜진다면, 반등의 발판이 될 수 있으나 이를 하향 돌파할 경우 추가적인 매도 압박이 급격히 커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비트코인이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단기 보유자들의 손절성 매도는 새로운 상승장의 준비 신호일 수도, 반대로 본격적인 침체의 시작일 수도 있다. 현재로서는 보유자들의 심리와 거래량, 온체인 지표들을 면밀히 관찰하며 대응 전략을 조율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