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최근 하락 흐름 속에서도 상승 신호를 보이며 반등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약 3조 7,275억 원 규모의 손절 매물이 거래소에 쏟아졌고, 꾸준한 출금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일부 분석가들은 단기적인 회복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비트코인은 최근 1BTC당 11만 4,000달러(약 1억 5,846만 원)에서 11만 1,500달러(약 1억 5,499만 원)까지 하락하며 저점을 갱신했다. 하지만 같은 시간대 상대강도지수(RSI)는 고점을 높이며 기술적 지표상 ‘강세 다이버전스’를 형성했다. 차트 분석가 멀린 트레이더(Merlijn The Trader)는 이를 두고 “이 같은 모멘텀 변화는 반등의 초기 신호”라고 평가했다.
현재 비트코인은 11만 2,700달러(약 1억 5,660만 원)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하루 거래량은 약 490억 달러(약 68조 1,100억 원)에 달한다. 단기 지지선은 11만 1,500~11만 3,000달러(약 1억 5,499만 원~1억 5,707만 원) 구간으로 압축된다.
멀린은 두 가지 주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첫 번째는 지지선 방어 후 반등해 12만 4,000달러(약 1억 7,236만 원)까지 회복하는 경로, 두 번째는 지지선 이탈 시 10만 2,000~10만 4,000달러(약 1억 4,178만 원~1억 4,454만 원)까지 밀린 뒤 재차 상승을 시도하는 흐름이다.
온체인 데이터는 단기 투자자의 투매 정황도 포착하고 있다. 크립토 애널리스트 테드(Ted)에 따르면 최근 하루 만에 3만 900BTC가 거래소로 유입됐고, 이중 실현 손실 규모는 33억 9,000만 달러(약 4조 7,071억 원)에 달했다. 이는 공포에 휩싸인 단기 보유자의 본격적인 손절이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과거 유사한 손실 청산 시점은 국지적 바닥에 근접한 상황에서 나타난 바 있다.
또 한 가지 주목할 변화는 거래소 순유출량의 증가다. 최근 몇 주 동안 일일 2만 BTC 이상이 거래소에서 빠져나간 날이 다수 포착됐다. 특히 가격이 급락한 시점에는 순유출 규모가 3만 BTC에 육박하기도 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단기 매도보다는 장기 보유를 선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시장 수급 구조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강세 다이버전스 구간의 형성, 단기 투자자들의 손절 정리, 거래소 비트코인 유출 증가. 이 세 가지는 모두 시장 반등의 조건이 형성되고 있음을 가리킨다. 단, 단기적으로는 지지선 이탈 여부가 여전히 관건이다. 시장이 바닥을 다지고 반등에 나설 수 있을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