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이누($SHIB), 토큰 소각률 0%… 디플레이션 전략 사실상 실패

| 류하진 기자

시바이누(SHIB)의 토큰 소각률이 0으로 수렴하면서 프로젝트의 디플레이션 시나리오가 사실상 중단됐다. 이는 공급 축소를 통한 가격 부양 전략이 토대부터 허약했음을 방증한다. 당초 커뮤니티 중심의 자발적 소각은 큰 기대를 모았지만, 실질적인 경제적 유인을 결여한 채 장기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운 구조였다.

시바이누 생태계의 소각 메커니즘은 이더리움(ETH)의 EIP-1559와 달리, 네트워크 사용량에 기반하지 않은 임의적 참여 방식이다. 초기엔 커뮤니티의 높은 관심과 함께 탄력을 받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사용자들의 참여도가 급격히 하락했고, 시스템 내부에서 소각을 지속할 만한 구조적 장치는 없었다. 결국 일시적인 열광 이후 이 운동은 자취를 감췄다.

더욱이 현재 유통되고 있는 시바이누의 총 공급량은 약 589조 개에 달하며, 과거 발생한 수백억 단위의 소각은 전체 토큰 수에 큰 영향을 주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2021년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410조 SHIB을 소각한 사건은 시장에 잠깐 충격을 줬지만, 이후 소각은 사실상 형식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토큰 경제 모델 전반을 바꾸지 않고는 SHIB 소각은 무의미한 상징에 불과했던 셈이다.

현재 SHIB 가격은 2021년 급등 후 장기 하락이 이어졌고, 이전 고점 회복은 요원한 상황이다. 공급량 절감을 통한 디플레이션 기대가 실질 변수로 작용하지 않는 이상 SHIB의 가치 상승은 오직 시장 수요에 달렸다. 이처럼 구조적 장치 없이 외부 기대감만으로 유지되는 프로젝트는 투기적 자금 유입이 끊기면 즉각 한계를 드러낸다.

향후 SHIB의 소각률이 다시 상승할 가능성도 희박하다. 커뮤니티의 피로감은 깊어졌고, 개발진도 아직까지 실효성 있는 소각 구조 도입에 나서지 않고 있다. 일부에서 마케팅 기법으로 사용된 ‘소각’이 투자자들에게 현실적인 가치를 제공했다기보다는 광고 효과에 가까웠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투자자 입장에선 이제 ‘SHIB 소각률 0’이라는 현실이 하나의 명확한 신호가 된다. 즉, SHIB의 미래는 새로운 수요가 유입되지 않는 이상, 의미있는 성장 동력을 잃었다는 점이다. 근본적인 토크노믹스 변화 없이 ‘기대감’만으로는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