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2,900달러 지지선 강화...디플레이션 구조가 가격 버팀목 될까

| 손정환 기자

이더리움(ETH)의 가격이 최근 큰 폭으로 하락한 가운데, 고래 투자자들이 이 기회를 매수로 활용하며 주요 지지선이 재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에 따르면 2,900달러(약 4,031만 원)는 이더리움의 핵심 가격대가 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약세장에서 지지력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온체인 데이터 플랫폼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이더리움 누적 주소들의 실현 가격(realized price)이 평균 2,900달러(약 4,031만 원)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올해 초 1,700달러(약 2,363만 원)에서 급격히 오른 것으로, 최근 승인된 현물 ETF 기대감과 함께 대량 매수가 뒷받침된 결과다. 현재 해당 주소의 총 보유량은 2,760만 개에 달하며, 일부 분석가는 이 지점이 최악의 시나리오 기준선이 될 거라 보고 있다.

현재 이더리움 가격은 약 4,177달러(약 5,810만 원)로, 2,900달러와는 약 30% 간극이 있지만 투자심리가 유지될 경우 하락 방어선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법인 중심 디지털자산금고(DAT)의 꾸준한 매수세가 공급을 줄이면서, 상승세 기반을 강화하고 있는 분위기다.

코인메트릭스(CoinMetrics)에 따르면, 2022년 ‘머지(병합)’ 이후 신규 발행량을 상회하는 DAT의 축적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지분증명(PoS) 구조 하에서 스테이킹 보상 축소에도 불구하고 이더리움의 비통화성(deflationary) 속성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일반 검증자와 달리 DAT는 보상을 시장에 다시 풀기보다는 보유를 지속하고 있어, 이는 결국 시중 유통량 축소로 연결된다.

한편, 이더리움은 여전히 스테이블코인 거래의 중심축으로 작용 중이다. 전체 스테이블코인 공급량의 65% 이상이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결제되고 있으며, 하루 평균 전송 규모는 600억 달러(약 83조 4,000억 원)를 넘어서는 수준이다. 특히 ‘지니어스법(GENIUS Act)’의 통과가 촉매로 작용하면서 이같은 현상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다만 에테리움의 성장에 걸림돌도 존재한다. 빠르게 확산 중인 경쟁 플랫폼들과 상대적으로 긴 블록 생성 시간은 확장성 측면에서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레이어2 솔루션 도입은 성능 개선에 기여하고 있지만, 장기적인 확장은 여전히 개발자 커뮤니티의 관심과 협업이 관건으로 분석된다.

결론적으로, 이더리움의 향후 가격 흐름은 디플레이션 유지, 검증자 보상 구조, 그리고 신흥 플랫폼과의 경쟁력 확보라는 세 요소 간 균형에 달려있다. 시장은 이러한 지표들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과열과 과매도 사이에서 전략을 조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