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걸쳐 극심한 청산 사태가 발생하면서 투자자들이 큰 충격을 받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움직임은 리플(XRP)에서 나타났다. 지난 1시간 동안 XRP에서는 롱포지션 청산이 숏포지션에 비해 무려 63,500%에 이르는 비정상적인 불균형을 기록했다. 이처럼 극단적인 수치는 레버리지를 과도하게 활용한 상승 베팅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경고하고 있다.
시장 데이터 제공업체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XRP 롱포지션 청산 규모는 약 63만 5,000달러(약 8억 8,165만 원)였던 반면, 숏포지션은 고작 1,000달러(약 139만 원)에 머물렀다. XRP 가격은 고작 1% 수준으로 소폭 하락했지만, 포지션 편향도가 워낙 심각했던 탓에 롱 청산은 빠르게 증폭됐다. 가격이 2.82~2.84달러 구간에서 움직였음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레버리지 사용자가 청산 당한 셈이다.
이러한 현상은 XRP에 국한되지 않았다. 지난 24시간 시장 전체에서 발생한 암호화폐 청산 규모는 4억 달러(약 5,560억 원)에 달했다. 비트코인(BTC)은 핵심 지지선인 113,000달러에서 111,800달러(약 1억 5,550만 원)까지 밀리며 투자심리를 위축시켰고, 이더리움(ETH)은 무려 1억 7,800만 달러(약 2,478억 원) 규모가 하루 만에 증발됐다. 솔라나(SOL)도 2,400만 달러(약 334억 원)가 정리됐으며, XRP와 도지코인(DOGE) 같은 알트코인도 직격탄을 맞았다.
이 기간 동안 청산된 투자자는 총 12만 8,000명에 달했고, 롱포지션 중심의 손실이 두드러졌다. 롱 청산은 3억 3,300만 달러(약 4,629억 원), 숏 청산은 7,300만 달러(약 1,015억 원)로, 불균형이 뚜렷했다. 주요 파생상품 거래소별로는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와 바이비트(Bybit)가 피해가 컸으며, 각각 6,250만 달러(약 869억 원) 이상의 포지션이 사라졌다. 바이낸스와 OKX도 그 뒤를 이었다.
한편, 도지코인 고래 투자자들은 하락장 속에서 2억 DOGE(약 6,672억 원)에 해당하는 매집에 나섰다. 주소당 1억~10억 DOGE를 보유한 지갑들이 단 48시간 만에 20억 DOGE를 추가 확보하면서, 가격 반등에 대한 기대 심리가 읽힌다. 현재 도지코인 가격은 0.23~0.24달러로, 상승 추세선의 하단 영역에 위치해 있는 만큼, 이번 고래 매수세가 방향 전환의 신호탄이 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번 청산 사태는 시장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줬다. 특히 과도한 레버리지와 쏠림 포지션이 시장 전반의 리스크를 키우고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보다 신중한 전략과 리스크 관리가 요구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