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 만기일 주목…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급등락 예고

| 서도윤 기자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의 가격은 겉보기에 종종 무작위로 움직이는 듯 보인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 변동성 뒤엔 일정한 리듬이 있다. 바로 옵션 만기다. 대규모 옵션 계약이 만기를 맞을 때는 시장에 거대한 파동을 일으키며 투자자들의 포지셔닝을 흔든다. 이를 이해하면 급등락의 순간을 예측하고 위험을 보다 정교하게 통제할 수 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옵션은 일종의 파생 상품으로, 특정 시점까지 정해진 가격에 매수 또는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주는 계약이다. 이 권리를 콜옵션과 풋옵션으로 구분하는데, 각각 매수와 매도에 대한 권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만기가 가까워질수록 옵션 계약의 가치는 급격히 변하며, 이로 인해 기본 자산인 코인의 현물 가격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귀추가 주목되는 이유는 이렇다. 옵션 계약은 단순한 투자 수단일 뿐 아니라, 시장 심리를 반영하는 지표이기도 하다. 풋-콜 비율이 대표적이다. 이 지표가 1보다 높다면 투자자들이 하락장을 예상하며 매도 포지션에 집중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반대로 1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승장 기대감이 강하다는 의미다. 이러한 심리 지표는 옵션 만기일과 결합될 때 더욱 강력한 가격 변화를 유도한다.

옵션 시장에서는 종종 ‘맥스 페인(Max Pain)’ 이론이 언급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시장은 가장 많은 투자자가 손실을 입는 가격대로 수렴되는 경향이 있다. 옵션 만기일에 이 지점으로 가격이 움직인다면, 많은 계약이 무의미하게 소멸되면서 시장 조작 가능성도 커질 수 있다. 트레이더 입장에서는 이처럼 만기 효과가 작용하는 시기를 인지하고 지표를 분석함으로써 리스크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옵션 만기는 매달 마지막 금요일 오후 5시(한국시간)경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 이 시기는 시장 급등락 가능성이 높아지는 구간으로 통한다. 예컨대 약 50억 달러(약 6조 9,500억 원) 상당의 계약이 한 번에 만기를 맞는 상황에서는 일부 포지션 정리만으로도 현물 시장에서 수천억 원대의 매수·매도가 쏟아질 수 있다. 그 여파는 비트코인 또는 이더리움의 가격뿐만 아니라 연계된 알트코인 전반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옵션 만기에 따른 가격 왜곡, 거래량 급증, 포지션 재조정 같은 현상은 단순히 하룻밤새 등장하는 돌발 변수가 아니라, 구조적으로 예측 가능한 흐름이다. 투자자들은 가격 차트 이면에 숨겨진 이러한 파생 시장의 움직임을 분석함으로써 더 깊은 시장 이해를 얻을 수 있다. 단순한 가격 등락 이상의 전략적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