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거래가 일상의 일부가 되면서, 복잡한 세금 규제를 따르는 일은 더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각국 정부가 암호화폐를 과세 자산으로 취급하면서, 거래소에서의 매매는 물론 스테이킹이나 에어드롭 수령, NFT 전송까지 과세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거래소와 지갑에서 수백 건의 트랜잭션이 발생할 경우, 이를 수작업으로 계산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이런 상황에서 암호화폐 세무 소프트웨어의 활용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 되고 있다.
미국, 영국, 일본, 호주 등 주요국은 비트코인(BTC)이나 이더리움(ETH)을 ‘통화’가 아닌 ‘자산’으로 간주하고, 매도·교환 수익에 대해서는 양도소득세를, 스테이킹 등에서 나온 수익에 대해서는 소득세를 부과하고 있다. 특히 미국 국세청(IRS)은 모든 거래 기록을 정확히 보고할 것을 요구하며, 양식 8949나 Schedule D 등 구체적인 폼을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받아야 할 국세청 신고가 복잡해지자, 거래 내역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과세 기준을 반영해 보고서를 생성해주는 암호화폐 세무 소프트웨어가 주목받고 있다. 이들 도구는 API 연결이나 CSV 업로드를 통해 수백 건의 트랜잭션을 자동으로 불러오고, 내부 전송과 외부 거래를 구분해 이중 집계 오류도 방지한다. 가격 기준도 자동으로 환산하며, 원화 기준 보고도 지원해 국내 이용자에게도 효율적인 납세 준비를 가능하게 한다.
현재 시장에서 인지도가 높은 소프트웨어로는 Koinly, CoinLedger, CoinTracker, CryptoTaxCalculator, TokenTax 등이 있다. 이 중 Koinly는 700개 이상의 거래소 및 블록체인을 지원하며, 실시간 포트폴리오 추적 기능과 다양한 회계 방식, IRS 및 HMRC에 호환되는 보고서를 제공해 사용자 만족도가 높다. CoinLedger는 디파이(DeFi)와 NFT 거래까지 폭넓게 아우르며, TurboTax나 H&R 블록 같은 세무 서비스와 연동이 가능해 미국 사용자에게 특히 유용하다.
CryptoTaxCalculator는 초보자에게는 다소 복잡할 수 있으나, 디파이 및 NFT 거래 내역 추적에 강점을 가지며 FIFO/LIFO 회계 방식 전환 등을 지원한다. TokenTax는 회계사와의 협업 기능까지 제공되는 고급형 소프트웨어로, 급격한 거래량 증가나 마진거래 환경에서도 정확한 보고서 작성을 가능케 한다.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는 계정 간 내부 전송을 감지해 과세 대상이 아닌 거래로 구분하고, 손익 계산도 정확하게 처리해 세무 오류를 줄인다.
각국별 세무 규정도 달라 세금 소프트웨어의 ‘현지화’ 여부가 중요하다. 예컨대 일본은 과세 기준이 최대 40%를 넘는 누진세 구조를 채택하고 있고, 인도는 매매차익에 대해 30% 고정세율을 적용하며, 손실 상계도 불허하는 강력한 규제를 시행 중이다. 유럽연합(EU)은 국가별 차이에도 불구하고 MiCA 및 DAC8 같은 규제 체계를 통해 통합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규제 각색을 감안할 때, 국경을 넘어 거래하는 사용자라면 국가별 규정을 반영한 소프트웨어 선택이 핵심이다.
향후 암호화폐 세무는 보다 복잡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디파이와 NFT, 게임파이 등 다양한 온체인 활동까지 세무 범위에 포함되면서, 전방위적 데이터 추적이 필요해질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AI 기반 회계 자동화 기능이나 실시간 납세 예측 기능이 탑재된 고급형 세무 소프트웨어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도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민감한 거래 정보가 집계되기 때문에, 암호화 기능과 읽기 전용 API 키 활용 등 보안 기준 역시 핵심 선택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나아가 은행과 회계 시스템과의 통합이 실현된다면, 암호화폐와 전통금융의 연결이 훨씬 매끄러워질 수 있다.
결국, 세무 당국과 암호화폐 산업 간의 간극은 줄어들고 있으며, 사용자는 효율성과 합법성 모두를 갖춘 납세 도구를 선택해야 할 시점에 이르고 있다. 암호화폐 투자를 진지하게 이어가려는 이들이라면, 이제는 ‘세무 전략’까지 포트폴리오에 포함시켜야 할 때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