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거래소에 AI 통한 이상거래 감시 강화 촉구… 자율규제 본격화 신호

| 연합뉴스

금융당국이 가상자산시장의 공정성과 투명성 강화를 위해 거래소들의 자체 감시 기능을 대폭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최근 가상자산이 제도권 금융과의 연계성을 높여가면서, 이용자 보호와 시장질서 유지를 위한 감독 당국의 역할이 한층 강조되는 흐름이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9월 30일 서울 강남에서 열린 주요 가상자산사업자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거래소 스스로 불공정 거래를 감시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는 두나무, 코빗, 코인원 등 국내 주요 10개 거래소가 참석해 당국의 주문에 귀를 기울였다. 이 원장은 "디지털자산 시장도 전통 금융시장과 마찬가지로 공정성과 투명성이 근간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정부의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근절’ 방침에 따라, 거래소가 시장 감시 전담 인력을 확충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이상의 이상 거래 탐지 시스템에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불공정거래 적출과 이익 환수는 물론, 감시 체계의 정교화가 이용자의 신뢰를 확보하는 핵심 수단이라는 분석이다.

기술적 안정성 확보도 중요한 과제로 지목됐다. 최근 일부 거래소에서 벌어진 ‘먹통 사태’ 등 시스템 장애 사례를 언급한 이 원장은, "비정상 거래나 서버 마비는 투자자에게 큰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며 IT 인프라에 대한 선제적 투자와 안정적인 운영을 당부했다. 스테이블 코인이나 가상자산 상장지수펀드(ETF)처럼 금융·실물 경제와의 연계성이 커질수록 리스크 관리의 중요도는 더욱 커진다는 판단이다.

참석한 거래소 CEO들은 자율 규율체계에 기반한 이용자 보호와 시장 신뢰 회복 의지를 밝히며, 이용자보호법 등 관련 법규를 성실히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또 국내 가상자산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공정한 경쟁과 업계 간 상생을 위해 실효성 있는 규제 마련을 정부에 건의했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디지털 자산의 제도화 속도에 따라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오는 2027년 시행 예정인 가상자산시장 관련 전면 시행법에 앞서 업계 자율규제와 당국의 감독 체계가 정비되면, 한국 가상자산 시장의 신뢰 기반 조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