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다시 셧다운에 돌입하면서,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는 이를 ‘비트코인으로 해결할 수 있다(Bitcoin Fixes This)’는 메시지로 대응하고 있다. 2018년 이후 처음 발생한 이번 셧다운은 정부의 반복적인 구조적 실패를 부각시키며, 탈중앙화된 자산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는 상징적인 계기가 됐다.
이번 셧다운은 10월 1일 자정, 미 의회가 임시 예산안 합의에 실패하면서 발효됐다. 공화당이 주도한 예산안은 하원에서는 통과됐지만, 민주당의 지지를 얻지 못해 상원 문턱을 넘지 못했다. 그 결과 연방정부 소속 약 75만 명의 공무원들이 강제휴직 상태에 들어갔고, 국립공원 운영이나 재향군인 서비스 등 주요 공공 서비스도 일시 중단됐다. 필수 인력의 경우 급여 없이 근무를 이어가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암호화폐 업계 인사들은 일제히 현 체제에 대한 비판적 목소리를 냈다. 비트와이즈(Bitwise) 사장 테디 푸사로(Teddy Fusaro)는 “은행 위기, 구제금융, 극단적 시장 불안정을 반복적으로 발생시키는 이 시스템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베리언(Varian)의 최고법률책임자 제이크 체르빈스키(Jake Chervinsky) 역시 “수조 달러를 써놓고 정부는 여전히 돈을 쓸 줄 모른다”며, 탈중앙 금융 시스템의 대안성을 강조하며 “그래서 우리가 크립토를 한다”고도 덧붙였다.
이 같은 반응은 단순한 분노 그 이상이다. 암호화폐 지지자들은 정부의 운영 실패와 중앙집중형 시스템의 비효율이 반복될수록, 비트코인(BTC)을 비롯한 탈중앙화 자산의 존재가치가 더욱 부각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실제로 암호화폐 사용자들은 "정부는 닫혀도 블록체인은 멈추지 않는다"는 문구를 공유하며 자산 시스템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하고 있다.
한편, 비트코인은 현재 약 114,557달러(약 1억 5,939만 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사상 최고가에 근접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정치 및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디지털 자산에 대한 위험 회피 수요가 확산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과거에도 비슷한 상황은 반복돼 왔다. 2018년 말부터 2019년 초까지 35일간 이어진 역대 최장 셧다운을 비롯해, 1990년대와 1980년대에도 여러 차례 정부 기능 정지 사태가 벌어진 바 있다. 결국 이러한 변수는 단기적으로는 미국 경제에 타격을 주고, 장기적으로는 암호화폐를 포함한 대체 금융 인프라의 필요성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