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K)의 비트코인(BTC) 현물 ETF가 단 하루 만에 약 1조 3,449억 원(9억 6,900만 달러) 규모의 자금 유입을 끌어들이며 기록적인 성과를 달성했다. 크립토 시장에서 기관 투자자의 적극적인 복귀를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로 받아들여지는 대목이다.
암호화폐 ETF 정보 플랫폼 소소밸류(SoSoValue)에 따르면, 10월 6일 하루 동안 미국의 비트코인 현물 ETF 전반에서는 총 11억 9,000만 달러(약 1조 6,541억 원)가 유입됐다. 이 가운데 블랙록의 iShares 비트코인 트러스트 ETF(IBIT)는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ETF 시장 내 지배적 입지를 과시했다.
한편 피델리티의 FBTC는 이날 1억 1,200만 달러(약 1,557억 원)를 유입하며 2위를 차지했으며, 비트와이즈의 BITB와 그레이스케일의 GBTC도 각각 6,012만 달러(약 835억 원), 3,055만 달러(약 425억 원)의 순유입을 기록했다. IBIT를 필두로 한 비트코인 ETF군이 강세를 보인 반면, 이더리움(ETH) ETF는 1억 7,600만 달러(약 2,462억 원) 규모에 그쳤는데, 이 중 블랙록의 ETHA가 9,259만 달러(약 1,288억 원)를 담당했다.
눈에 띄는 점은 지난 한 달 동안의 누적 유입 규모다. 비트코인 ETF는 지난 30일간 총 46억 1,000만 달러(약 6조 4,479억 원)가 유입되며, 같은 기간 이더리움 ETF의 유입액인 10억 5,000만 달러(약 1조 4,595억 원)를 크게 상회했다. 이와 관련해 온체인 분석가 마르툰(Maartunn)은 “이더리움이 한동안 주목받았던 8월과 달리, 최근에는 자금 이동이 다시 비트코인 중심으로 회귀하고 있다”며 명백한 ‘회전(Rotation)’ 흐름을 강조했다.
이번 현물 ETF 자금 유입 강세는 단기적인 시장 반등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특히, 연말을 앞두고 비트코인이 제도권 투자 환경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는 평가가 시장 참여자들로부터 이어지고 있다. ETF를 통한 대규모 자금 유입이 가격 상승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도 함께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